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였던 투발루(Tuvalu)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자발적으로 ‘폐국(閉國)’을 선언한 최초의 국가이다. 지속적인 해수면 상승과 바닷물의 침식작용으로 인해 9개 섬들 중 하나인 ‘테푸카 사빌리빌리’가 바닷물에 잠겨 사라졌고 나머지 또한 침식이 계속되어 더 이상 국가존립이 불가능해지자 결국 2001년 투발루 정부는 ‘국토포기선언’을 하고 자국민들을 호주 등 이웃국가에 난민지위를 인정받아 이주시켰다. 이제 더 이상 예전의 투발루 영토는 지도에서 찾을 수 없게 되었다.투발루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지구온난화 문제는 인류의 생존과 국가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는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는 홍수ㆍ가뭄 등 이상기후 현상에 따른 피해가 속출하고 동토(凍土)가 녹으면서 지형ㆍ지질이 변경되어 건축물ㆍ교량 등이 무너지고 있다. 대기 및 바다 속 산성도가 급격히 치솟으면서 열대우림이나 산호초 등의 면적이 빠르게 줄어들어 그곳에 있던 수십 만 종의 동식물이 멸종 위기에 놓여있다. 그동안 탄소배출 제한에 소극적이던 미국과 중국이 주축이 되어 체결ㆍ발효된 이번 파리협약은 역설적으로 그만큼 더 심각해진 지구온난화 피해 현실을 반증한다고 볼 수 있다.따라서 지구온난화 완화 효과가 검증된 현실적 방안들이 있다면 이를 조속히 시행해야 한다. 부작용 없는 완전무결한 대안이 나오기만을 기다리기에는 현재의 상황이 너무도 악화일로에 있기 때문이다. 다른 문제가 다소 포함된 방안이라도 그 부작용과 지구온난화 경감 효과를 비교해 후자가 높다면 일단 시행하면서 그 부작용을 해소해가는 대증적 태도를 견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원자력발전은 폐기물 처리문제 등의 이유로 찬반대립이 팽팽히 맞서 있는데 화력발전과 비교할 때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으므로 일단 이를 건설ㆍ운영하는 것을 계속해가면서 폐기물 등 부작용 해소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타당하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생활터전을 상실하고 환경난민(環境難民)이 되어버린 투발루 사람들의 교훈을 우리는 결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