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류길호기자] 여야가 2016년 새해가 되어서도 쟁점법안과 선거구 획정 처리를 못한채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여야 모두 총선 체제로 접어든 가운데 원내지도부 간 물밑접촉도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장기 미제’로 남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전망이다.지난 3일 저녁 새누리당 원유철·더불어민주당 이종걸 원내대표는 시내 모처에서 회동을 갖고, 임시국회 회기 내 쟁점법안과 선거구 획정 처리를 놓고 의견을 주고받았으나 접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5일 알려졌다.결국 경제활성화 관련 4개 법안과 노동개혁 관련 5개 법안 등 9개 쟁점법안은 남은 임시국회에서도 처리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애초 지난해 정기국회에서 처리가 추진됐던 게 ‘연내 처리’로 밀렸고, 연내 처리가 물 건너가자 오는 8일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 처리로 또 밀렸지만, 이마저도 무산되는 것이다.곧바로 1월 임시국회를 소집해도 의원들이 이미 총선 대비를 위해 각자 지역구로 흩어진 상황에서 ‘개점휴업’이 될 공산이 크다.국회의 무기력함에 대한 여론의 비판이 거세지자 여야는 책임을 서로에게 떠넘기는 데 급급한 모습이다.원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야당이 국민을 위한다는 것은 구호와 말뿐이고, 더민주 문재인 대표나 안철수 의원 그 누구도 민생법안을 처리하자는 사람은 없다”면서 “그저 매일 내부 권력투쟁과 보여주기 식 총선 행보에만 골몰해 있다”고 비판했다. 더민주 이목희 정책위의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야당의) 대안에 꿈쩍도 안 하는 새누리당은 청와대의 ‘여의도 출장소’”라며 “정치집단으로서 최소한의 자주성과 주체성을 갖고 있다면 일부라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갖고 오면 적극적으로 타협할 용의가 있다”고 맞섰다.선거구 획정 역시 새누리당은 더민주가 선거연령 하향조정 등 선거구와 무관한 선거제도를 요구하는 탓에 협상이 번번이 무산됐다고 주장하고, 반면 더민주는 새누리당이 과반의석 확보에만 매달려 조금이라도 불리할 것 같으면 협상 자체를 거부하고 있다고 맞대응했다.지난 1일을 기해 선거구가 없어진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지만, 여야는 같은 주장만 반복하면서 선거구 획정 불발을 ‘남탓’으로 돌리기에 급급하다. 이 때문에 여야가 현역 의원들의 ‘기득권 수호’를 위해 일부러 선거구 획정 협상을 질질 끄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쟁점법안 처리가 한없이 늦어질 기미를 보이자 청와대는 쟁점법안에 대해서만이라도 직권상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정의화 국회의장은 법안 직권상정은 받아들일 수 없으며, 오히려 선거구야말로 직권상정 대상이라고 맞서고 있다.급기야 청와대 관계자가 이날 정 의장을 향해 “이미지 정치를 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이에 정 의장 측은 “국회의장에 대한 무례”라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는 등 국회와 청와대의 정면충돌 양상마저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