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정국을 앞두고 기업들의 구조조정 작업이 본격화 될 조짐이 보인다. 지난해 금융권에서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대기업 수가 전년도 보다 6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병신년(丙申年) 새해부터 대기업 구조조정 한파가 몰아칠 전망이다. 금융담국도 채권 금융기관을 긴급소집해 국내외 경제 여건이 우호적이지 않을것 이라며 선제적인 구조조정에 나서 달라고 주문했다. 하지만 효율적인 구조조정 작업을 돕는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의 효력이 지난해를 끝으로 정지됐기 때문에 연초부터 금융권에서 혼란이 적지 않을것으로 본다.경기 회복의 뚜렷한 징조가 없는 만큼 앞으로 기업 구조조정의 수요는 더욱 커질 것이고 기업 경영정상화를 위한 채권은행과 금융당국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한 시점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금융권에서 빌린 돈이 500억 원이 넘는 대기업 중 368개사에 대한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19개사를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선정했다. 상반기 정기평가에서 이미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35개사를 합하면 총 54개사로 전년도에 비해 20개사가 늘어난것이다. 또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2010년(65개) 이후 최대 규모이다. 금감원은 구조조정대상 기업 중 C등급을 받은 11개 워크아웃대상 기업의 경우 신속한 금융지원과 자산매각, 재무구조개선 등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하는 한편, D등급을 받은 8개 부실기업에 대해선 기업회생절차 등을 통해 정리를 유도한다.향후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있는 업체 중 증자와 자본유치, 자산매각 등 자구계획을 진행하고 있는 23개사에 대해선 자구계획 이행실적을 점검·관리다.금융당국은 상장사를 포함한 CㆍD등급의 기업 명단 ‘비공개’를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원활한 구조조정 추진과 영업활동 등을 지원한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채권은행의 평가와 함께 시장의 검증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또한 상장사의 경우 투자자의 이해관계와 직결되기 때문에 해당 정보에 대한 공개 여부는 매우 중요하다. 기업 구조조정은 ‘타이밍’이다. 적기에 선제적으로 구조조정을 하지 않으면 회생 가능한 기업이 청산 단계인 법정관리에 돌입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올해 한국 경제는 기업 구조조정의 성패에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한계기업 솎아내기는 경제 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다.정치권에서 기촉법을 통과시키기 전까지 채권은행이 채권 회수 등 당장의 이익에 눈이 멀어 구조조정을 그르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