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류길호기자] 새누리당의 4·13 총선 공천룰 논의가 막바지로 향하면서 ‘현역 기득권 분쇄’와 ‘낙하산 공천 차단’이라는 대결양상을 보였다.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는 3일 회의를 열어 당내 총선후보 경선 여론조사 때 가·감점 부여 조건, 가점을 줄 정치신인의 범위, 결선투표 때 가·감점 적용 여부 등을 논의했다.현재까지 정해진 공천룰은 정치신인의 여론조사 득표율에 10% 가산, 여론조사 오차범위 때 결선투표 도입, 여성 비례대표 최대 3분의 2 배정 정도다.여성이면서 신인인 경우, 40세 이하 청년이면서 신인인 경우 각각 가점을 20%로 높이는 방안도 거론됐다.그러나 여성이면 무조건 10%의 가점을 주자는 주장이 당 지도부 일각에서 거론되면서 여성 신인에 20%의 가점까지 주는 것은 지나친 특혜라는 지적이 제기됐다.청년 가점 역시 모든 청년에 10%의 가점을 주느냐, 청년 신인만 20%의 가점을 주느냐가 여성 가점 문제와 맞물려 미정인 상태다.신인에 대한 가점 방침은 확정됐으나, 이를 결선투표까지 부여할지에 대해 논란에 계속되고 있다.대체로 친박(친박근혜)계 위원들은 “1차투표 때 신인이면 결선투표 때도 신인”이라는 논리로 신인은 결선투표에서도 가점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지만, 비박(비박근혜)계 위원들은 그러나 “1·2위 후보가 접전을 벌이는 결선투표까지 가점이 적용되면 경쟁력 없는 후보가 공천받을 수 있다”는 입장이어서 합의안 도출이 쉽지 않다.국회의원·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출마한 경우 신인으로 볼 수 없다는 데는 합의됐으나, 전직 장·차관과 청와대 참모까지 정치신인으로 볼지에 대해서도 의견 대립중이다.비박계는 “정권의 혜택을 입어 얼굴과 이름을 널리 알린 장·차관, 청와대 수석비서관, 대변인 출신까지 신인으로 간주해 가점을 주는 건 지나치다”는 입장이지만 친박계는 “자칫 신인의 정의가 자의적으로 내려질 수 있다”며 맞서고 있다.친박계는 현역의 기득권을 지키는 룰로는 ‘개혁공천’이 불가능한 만큼 신인의 범위를 되도록 폭넓게 보고, 결선투표 가점도 주자는 입장이다.반면 비박계는 개혁공천이라는 명분의 인위적인 물갈이가 ‘친박계 낙하산 공천’을 위한 술수가 아니냐며 장관·수석 가점과 결선투표 가점에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