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류길호기자]
새누리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는 27일 여의도 당사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20대 총선 후보 공천에서 정치신인과 여성·장애인 등에 대한 가산점 부여 방식 등을 논의했다. 이는 후보자 공천 과정에서 경선을 실시할 경우 인지도가 높은 현역 의원이 유리하다는 지적에 따라 개최됐다. 특위는 또 여론조사 경선을 치를 경우 현행 50:50으로 규정된 당원과 국민의 참여 비율 조정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비박계에서는 상향식 공천을 살리기 위해 국민의 참여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친박계에서는 현행 유지를 고수했다. 앞서 특위는 전날 회의에서 현행 당헌·당규를 준용해 단수·우선추천제를 적용하고, 현역 의원에 대한 자격심사 기준을 강화키로 했다. 친박계에서는 단수·우선추천제를 전략공천의 범주에 포함하고 있어 향후 결정 과정에서 전략공천을 반대하는 비박계와 공방도 예상된다. 새누리당 당규(공직후보자 심사 제9조)에는 부적격 기준을 ▲금고 이상의 형 ▲파렴치한 범죄 전력자 ▲부정·비리 등에 관련된 자 ▲탈당·경선불복 등 해당행위자 ▲유권자의 신망이 현저히 부족한 자 ▲기타 공직후보자로 추천하기에 부적합한 자 등으로 폭넓게 정의하고 있다. 이를 엄격하게 적용할 경우 현역 의원 교체 비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위는 또 중앙선관위와 통신사 관계자로부터 여론조사 경선에서 안심번호를 도입할 경우 문제점에 대해서도 의견을 수렴했다. 그 결과 비용과 기술면에서 여전히 문제가 있다고 의견을 모으고 유선전화를 통한 여론조사의 보완용으로 사용키로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특위는 이르면 오는 28일 최고위원회의에 회의 결과를 보고해 추인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한편, 새누리 공천특위 지역출신 의원으로서는 김재원 의원(의성·군위·청송)과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이 포함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