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취업난이 앞으로 10년은 더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인구론(인문계졸업생 90%가 논다)과 공대불패(공대 졸업생 취업은 실패가 없다) 등의 취업 신조어로 대표되는 전공별 취업 편차는 10년 후에도 나아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정부의 미래인재 육성정책의 방향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국무회의에서 보고한 ‘2014∼2024 대학 전공별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앞으로 10년간 전체 일자리수를 초과해 사회로 배출되는 대졸자수가 79만 2천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향후 10년간 인력 수급 전망을 전공 계열별로 보면 대학의 사회ㆍ사범ㆍ인문계열, 전문대 사회ㆍ자연계열 대졸자들이 특히 일자리보다 졸업생 숫자가 많이 넘친다. 4년제 대학의 사회계열은 10년간 대졸자 84만명이 쏟아져 나오는 데 비해 구인 수요는 62만3천명에 불과해 21만7천명의 인력 초과 공급이 예상된다. 전문대 사회계열의 인력 공급 과잉도 22만8천명에 달할 전망이다. ‘인구론’이란 말이 향후에도 계속 이어진다. 학령인구의 감소로 교사 수요가 줄면서 4년제 대학의 사범계열에서도 12만명의 인력 초과 공급이 예상됐다. 이어 인문계(10만1천명), 자연계(5만6천명) 대졸자도 구직난이 심할 것으로 전망됐다.전공별로 더 잘게 쪼개 보면 경영·경제(12만2천명)를 공부한 대졸자들의 인력 초과 공급이 제일 많고 중등교육(사범대 7만8천명), 사회과학(7만5천명), 언어ㆍ문학(6만6천명) 등에서 초과 공급이 심각하다. ‘그나마 취업 잘되는 학과’라며 경영ㆍ경제학과 공부했다가는 되레 더 잔인한 취업 경쟁률에 시달릴 수 있다.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정부는 공공ㆍ민간의 취업알선 기능을 강화하고 노동시장 정보 확산 등 인력 미스매치가 최소화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 대학 전공별 인력수급 전망을 참고한 차별화 된 미래인재양성정책 추진이 이뤄져야 한다.조직이나 직무적응에 실패하는 경우가 퇴사의 주요인이지만 최근에는 불안한 고용상황 탓에 공무원이나 공기업에 재취업하려는 사람들도 많다. 학력 과잉에 저성장 기조의 경제 전망이 겹치면서 향후 10년 동안 암울한 노동시장 수급 상황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 이래 저래 대졸자들의 수난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