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은 평균 2년 정도에 휴대폰을 신제품으로 바꾼다. 그리고 사용하던 중고 휴대폰은 대부분 저렴한 가격에 판매를 하게 된다. 그런데 중고 휴대폰이 2017년 전면 수출금지 품목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제기 됐다. 유엔환경계획(UNEP)이 바젤협약에 따라 중고 휴대폰을 유해 폐기물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바젤협약은 다른 국제협약과는 다르게 선진국이 아닌 개발도상국 77개 그룹이 주도하고 있는데 바젤협약에서 중고 휴대폰을 핵폐기물과 같은 유해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만약 2017년 당사국 총회에서 유해폐기물로 지정되면 교역이 크게 제한 되고 중고폰 수출길이 막히게 된다. 수출금지가 안되더라도 규제강화가 유력하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휴대폰을 만들어 파는 모든 나라의 이동통신업계에 큰 파장이 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우리나라의 연간 중고 휴대폰 수출 물량은 대략 1000만대로 중고폰 유통업체는 벌써부터 큰 피해가 우려될 것이라며 걱정이 태산같다.유엔환경계획의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연간 4,000만 톤 이상의 폐전자제품이 발생하고 있다. 휴대폰, TV, 컴퓨터, 자동차 등과 같은 일명 ‘하이테크 쓰레기’는 50여종의 유독 중금속과 신경계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지구 속에 살아가는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다. 폐휴대폰 한 대에는 금ㆍ팔라듐 등의 금속자원이 16종 이상 들어 있어, 이를 돈으로 환산하면 한 대당 2,500~3,400원의 가치를 지닌다고 한다. 광주시(시장 강운태)는 자원고갈과 환경오염에 대응하기 위해 폐기물의 원천감량 및 폐기물 자원화 사업을 중점 추진한다. 그동안 대부분 소각이나 매립에 의존해 왔던 것에서 벗어나 모든 폐기물을 순환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하고 폐기물을 질적ㆍ환경적으로 업사이클링하는 폐기물 제로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폐휴대폰, 컴퓨터, 건전지 등 폐가전제품에서 금, 은, 구리 등 유가금속은 물론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인듐, 코발트 등 희소금속을 회수해 재사용하는 도시광산(Urban mine) 산업육성을 위해 ‘한국도시광산기술원’ 광주 유치를 추진하는 등 폐기물이 새로운 가치창출과 전략산업으로 변화하는 기류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정부도 대책마련에 나섰다. 내년 초 정부와 업계가 참여한 대책반을 만들어 유해폐기물 지정 기준을 최대한 낮추는게 목표이다.원만한 협상이 마련돼 중고폰 수출에 관련한 피해가 없었으면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