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보아기자] 국립경주박물관은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이해 22일부터 내년 2월 21일까지 일본의 고훈시대를 조망하는 특별전 `일본의 고훈문화`를 진행한다. 일본 나라국립박물관의 특별협력으로 이뤄진 이번 전시회는 일본 내 9개 기관에서 출품한 380점의 문화재를 전시한다.특히 이번 전시에는 일본의 국보가 29점이며 중요문화재는 197점으로, 당시 한일 교류의 일면을 보여주는 우리 문화재 20점을 비교자료로 함께 선보인다.일본 고고학에서 고훈은 고대에 조성된 대형 무덤을 가리키며 이러한 고훈들이 집중적으로 조성되었던 시대를 `고훈시대`라고 부른다.당시 일본은 선진문화를 받아들이기 위해 신라 가야 백제 등과 활발히 교류, 고대의 우리 문화가 일본열도에 많은 영향을 줬다.이 전시회는 고훈시대를 전반적으로 조망하는 국내 첫 특별전으로서 고훈시대의 대표적 유적과 그곳에서 발견된 출토품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3부로 구성해 선보인다. □ 제1부 히미코의 유산, 고훈의 등장: 고훈시대 전기고훈시대를 연 여왕 히미코를 소개하고 야마타이국의 중심지로 추정되는 나라현 마키무쿠 유적의 출토품과 나라현의 구로즈카 무덤, 도다이지야마 무덤, 메스리야마 무덤 등의 부장품들을 전시한다.귀신을 받들어 사람들을 통솔했다는 종교적 지도자 히미코의 모습을 연상케 하는 청동거울과 돌팔찌 등 주술적 의미가 담긴 부장품을 볼 수 있다. □ 제2부 대형 무덤과 하니와의 세계: 고훈시대 중기고훈시대를 통틀어 가장 큰 무덤을 만들었던 시기다. 청동거울의 수가 줄며 돌팔찌도 거의 사라지는 대신 갑옷과 투구가 등장한다.이는 지배자의 성격이 종교적 지도자로부터 철기를 생산해 강한 무력으로 통치하는 군사적 지도자로 변화했음을 보여준다.나라현의 고조네코즈카무덤의 부장품과 철제 갑옷의 발달을 보여주는 시가현 신가이 1호무덤의 부장품을 선보인다.또 신라계 이주민의 무덤으로 알려진 나라현의 니자와센즈카 126호무덤에서 출토된 금동장신구들은 당시 활발했던 신라와 왜의 교류를 보여준다.대표적 전시품으로서, 무덤의 주위와 봉분에 배치했던 일종의 토기인 하니와도 선보인다. 하니와는 고훈문화를 대표하는 독특한 기물로서 매장의례시 공양물을 담는 항아리와 그릇받침에서 기원, 문자 자료가 거의 없는 고훈시대의 생활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제3부 사라지는 고훈: 고훈시대 후기고훈이 점차 사라지는 시기의 부장품을 전시한다.나라현의 바쿠야무덤, 다마키시로무덤, 후지노키무덤의 매장 주체부는 모두 굴식돌방무덤으로 백제로부터 일본에 전해진 것이다.이 시기를 보여주는 전시품으로서 신라와 가야의 토기 제작술을 도입해 만든 스에키와 기마문화를 보여주는 말갖춤 등이 선보인다.특히 후지노키무덤의 금은으로 장식한 장신구와 말갖춤들이 눈에 띄는 가운데 금은세공품으로 신분을 과시했던 후기 지배자의 모습을 연상케한다.이러한 고훈은 왕권의 강화, 장례 의식의 변화 등에 따라 점차 그 의미를 상실하고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다. 불교를 수용하게 됨에 따라 고훈을 축조했던 역량은 사찰을 만드는 쪽으로 옮겨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