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영삼기자]
중국 어선들이 울릉도 어민들의 어구를 파손하는 등의 손실을 수년째 끼치고 있어 정부의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울릉군은 지난해부터 중국어선에 대한 효율적인 단속을 위해 신규 어업지도선 건조 등을 요청했지만 정부의 내년 예산에 한 푼도 반영이 되지 않는 실정이다. 북한 해역에서 조업 중인 중국 어선들은 기상 악화 시 울릉도 연안으로 피항을 오면서 각종 피해를 입히고 있지만 아직까지 정부 차원의 별다른 대책이 없어 어민들은 전전긍긍하고 있다.최근 울릉도로 피항 온 중국 어선들이 내린 닻에 통발어선 4척의 통발어구 1천820개가 분실돼 9천만 원 상당의 손실을 냈다. 하지만 가해 어선은 보상을 하지 않고 그대로 떠나 버려 어선들은 손실을 고스란히 떠안을 상황이다. 지난달 중순에는 대형 중국어선에서 폐기름이 흘러나와 말썽이 났다. 울릉도 어민들은 연안 어장의 어구 손괴는 명백한 중국어선의 피항으로 인한 손실인 만큼 정부차원의 대책 수립이나 보상이 있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울릉군 지난 14일 경북도와 해양수산부 등에 피해 현황을 보내는 등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나서고 있다.이 같은 중국 어선들로 인한 피해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중국 어선들의 북한 해역 오징어잡이가 본격화하면서 시작돼 수 년 전부터는 더욱 극심해지고 있다.중국어선으로 인해 오징어 어획량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중국어선이 북한 수역에서 조업을 본격화하기 전인 2003년 울릉도 오징어 어획량은 7천323t.
하지만 지난해는 2천33t에 불과했다.
중국 어선들이 회유성 어종인 오징어를 북한 수역에서 울릉도로 내려가는 길목에서 싹쓸이 조업을 하기 때문이다.울릉도 피항 과정에 어구와 각종 시설물 피해도 속출하고 있다.
2013년 11월 울릉도로 피항한 중국어선이 해양심층수 공장의 취수관을 건드려 파손된 데 이어 지난해 11월에도 울릉도 저동항 해양심층수 취수관이 절단됐다. 기상청 해저 지진계 케이블도 지난 2013년 11월 한 차례 파손된 데 이어 지난해 12월에도 또 다시 망가졌다.
지난 2013년 12월에는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이 조성한 울릉연안바다목장 인공어초 시설이 부서졌다. 모두 대형 중국 어선들이 기상악화로 피항하면서 내린 닻이 해저에서 끌리며 일어났으며 이와 비슷한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울릉군은 수차례 정부에 대책 마련을 호소했지만 별다른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최수일 울릉군수는 올해 초 국무총리실 등을 방문해 울릉도·독도 연근해 중국어선 피항에 따른 법령검토와 중국어선 긴급 피항에 대한 피해상황 해결, 오징어 어획량 감소에 따른 정부차원 보상대책 마련, 울릉군 신규 어업지도선 건조 등을 요구했지만 지금까지 단 한 건도 이행되지 않았다.올 2월 새누리당 박명재 국회의원이 나서 대정부질문을 통해 북한과 직접 어업협정을 체결하는 방안과 신규 어업지도선 건조 지원을 주문하기도 했다. 현재 울릉군 소속 어업지도선은 올해로 24년 된 낡은 27t 경북 202호뿐이다. 지난 2009년 진수된 177톤의 행정선 독도평화호가 긴급 투입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중국어선의 싹쓸이 조업으로 동해 어자원 황폐화도 현실이 되고 있다. 북한과 협약을 체결하고 북한 어장에서 조업하는 중국어선은 지난 2004년 140척에서 해마다 늘어 지난해는 1천904척에 달했다.북한 바다에는 중국어선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는 말이 빈말이 아닌 셈이다.그러나 울릉도 어민들은 중국어선 들과 직접적인 마찰은 아예 꺼리고 있다. 울화통은 터지지만 말도 조심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대중국 외교가 성공을 거듭하고 있는 만큼 중국 어선들과의 충돌로 이에 대해 찬물을 끼얹을 생각은 추호도 없다는 애국적인 입장이다.울릉수협 관계자는 “어민들의 물질적, 정신적 피해가 늘어가고 있다”면서 “중국어선의 불법 조업 현황과 어업 피해 조사부터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한편, 시민단체 활빈단(대표 홍정식)은 16일 정부에 “중국 어선들이 울릉도에서 우리 어구파손 등으로 울릉도 어민들의 고통을 겪는데도 모르쇠로 눈감고 있다”며 “중국어선에 대한 효율적인 단속을 위한 어업지도선을 울릉군이 보유하도록 지원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