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봉현기자] 영주시 풍기읍 산법리에 조성중인 ‘국립산림약용자원연구소’ 공사현장에서 일부 설계·시방서를 무시한채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데다 품질검증이 되지 않은 저급자재마저 사용하고 있어 부실공사가 우려되고 있다.특히 일부 부실하게 공사가 되고 있는 곳은 공사가 마무리되면 잘 보이지 않는 부분으로 감독기관의 현장확인 소홀이 원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일각에서는 발주처와 감독기관, 시공사 현장관계자들의 유착의혹마저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토목전문가들에 따르면 현장의 경우 내부 도로를 조성하면서 보조기층 없이 노상 위에 바로 경계석과 측구를 설치하는 비정상적인 시공을 하는가 하면, 기존 노상을 보조기층처럼 보이도록 눈가림을 했다는 것. 이마저도 다짐조차 없이, 설계 규정을 무시한 재생골재로 요철 부위를 메우는 형식적인 시공에 그쳤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경계석 단가의 경우 설계에는 국내산 기준으로 산정됐지만 국산이 아닌 값싼 중국산을 공인기관 품질인증서도 없이 반입 시공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산 경계석은 가격의 차이뿐만 아니라 품질 불량 등 여러 가지 문제 발생으로 대부분의 관급공사에서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상태다. 이 같은 사실은 본보가 동일 현장과 관련, ‘민원을 일으키는 도 넘은 배짱공사’(1면 보도) 이후 2차 후속 취재 과정에서 드러났다. 현장 관계자들은 문제가 불거지자 재생골재도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거나 경계석 품질검사를 공인기관에 뒤늦게 의뢰했다는 등의 답변으로 일관하고 있다.공사와 관련, 전문가들은 보조기층은 노상 위에 놓이는 층으로 상부 노면 층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지만, 이 현장에 이미 설치한 경계석과 측구대로라면, 보조기층은 물론, 도로의 품질 규정을 충족하는 노면 층 시공은 애초 기대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뿐만 아니라, 4m 깊이에 하수관거를 매설하면서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하부기초콘크리트 조성은 물론 바닥 다짐도 없는 부실시공과 관련, 감리가 아무런 제재 없이 옆에서 이를 지켜보며 수수방관하고 있어 부실시공의 우려를 더해주고 있다. 이에 따라 전 공정에 걸친 확인·검사가 요구된다는 지적은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립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185억 원 전액이 국비로 투입되는 국내 최초의 산림 분야 약용자원 전문 기관으로서 기획재정부와 산림청이 영주 유치를 결정했으며 산림청 산하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을 발주처로 25,051㎡ 규모의 연구소 본관과 온실, 시험포지 등을 올해 안에 조성하고 내년 초 개원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