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 경북도의 물산업 해외 확장에 대한 발걸음이 본격화되고 있다. 경북도는 9일 도청 제1회의실에서 물산업육성협의회 위원 및 관계 공무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5년 물산업 육성협의회’ 정기회를 열었다.‘물산업 육성협의회’는 경북도가 물산업 육성을 위해 산·학·연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공감대 조성과 상생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물산업의 효율적,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구성한 기구다. 물관련 교수, 전문가, 기업 대표 등 22명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협의회는 지난 4월 성공리에 개최한 ‘대구·경북 세계물포럼’이후 국내외 물산업 생태계 조성방안에 대한 정책방향 제시와 새마을 세계화와 연계한 물기업의 개도국 해외진출 활성화 추진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회의는 세계물포럼 성과 및 향후계획 설명에 이어 POST-물포럼 경상북도 생태계 조성방안 모색과 경북 물산업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토론으로 진행됐다. 특히, 새마을 세계화와 연계한 물기업의 개도국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을 위한 토론에서는 현장의 생생한 경험이 묻어있는 다양한 조언과 함께 경북도 공무원과 위원들 간의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민경석 협의회장은“경북의 선제적인 물산업 육성전략에 대해 깊은 공감을 표시한다”면서 “앞으로 경북이 국내 물산업 중심지로 도약하고 국내를 넘어서 해외로 뻗어 나갈수 있도록 자문역할을 충실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경북도는 지난 4월 대구·경북 물포럼 이후 △지역 생수업체 700억 원 규모 생수 캄보디아 수출 △우수 빗물처리기술 중국 이싱시와 60억 원 기술협약 △지역 멤브레인 업체의 수도권 대신 지역에 541억 원 규모의 증액 투자 결정 △중국 독점 납품이 기대 되는 수처리 기자재 업체의 도내 입주 결정 등 실질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김정일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제7차 대구·경북 세계물포럼의 성과를 이어나가기 위해 경북 물산업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로 뻗어나갈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 경북도가 미래의 먹거리인 물산업의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협의회 위원들의 식견과 지혜를 모아 줄 것”을 당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