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 대구시는 8일 확대간부회의를 열어 동절기 종합대책 추진상황에 대해 각 분야별로 점검했다.세계기상기구에서 이번 겨울에 역대 3위 안에 드는 심각한 엘리뇨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경고하는 등 전국적으로 폭설이 전망되나, 대구지역에는 2012년 이후 큰 강설이 없어 시민들의 폭설에 대한 대응이 미흡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분야별로 제설대책을 마련하고, 철저히 추진해 시민의 불편사항을 최소화한다.엘리뇨 현상에 따른 전국적 폭설을 대비해 제설장비와 자재 및 인력을 전년도 대비 10%이상 보강하고, 시, 구․군별로 상이한 비상단계를 일원화하며, 효과적 재난관리를 위한 13개 협업실무반을 편성․운영한다.도시철도 3호선 외부계단 결빙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총 30개 역사 중 외부계단으로만 되어 있는 17개소에 대해 이달 말까지 캐노피 설치를 완료해 시민 불편이 없도록 할 예정이다.특히, 대형 건설공사장(19개 현장)과 각종 공사장의 사전점검과 ‘내 집, 내 점포 앞, 내 지붕 눈치우기’ 홍보 등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산불예방을 위해 산불방생대책본부를 설치․운영해 입산통제(14천ha), 등산로 폐쇄(5개 노선 12km) 등의 예방활동을 하고, 구·군에서는 산림 연접지 잡풀과 영농부산물을 12월말까지 공동소각토록 하는 등 협조를 요청했다.연중 화재의 36%, 인명피해의 27%가 겨울철에 발생하고 있어 화재 취약시설의 안전관리를 위해 연말연시 소방특별조사를 진행했고, 전통시장 화재 신속대응을 위한 ‘보이는 소화기’를 설치했으며, 선제적 현장 활동 및 재난대응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유관기관 소방응원 협정체계와 공무원 비상동원 체계를 점검했다.사회복지시설 1천973개소에 대해 안전점검을 실시했고(11.2-12.4), 노숙인・쪽방생활인 지원을 위해 노숙인 현장 상담반(10개반)을 운영해 거리 노숙인 응급잠자리 제공 및 의료서비스 지원(대구역, 동대구역), 쪽방생활인을 위한 방문사업 및 민간연계 나눔사업 전개, 노숙인자활쉼터 난방비 지원(5백만 원) 및 무료급식소(15개소)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독거노인 지원을 위해서는 일선 돌봄인력을 통한 취약 독거노인 안부확인 및 안전교육 실시하고(1만4천500명), 혹한기 극복용품 지원(3천명, 1억4천만 원), 무료급식소 운영(8개소, 2천240명), 밑반찬・도식락 배달(72개소, 2천70명)을 추진하고 있다.아울러, 저소득층 지원을 위해 난방비(모금회, 3천명) 및 생필품(희망배달마차 960명, 푸드뱅크 640명)지원, 시설수급자 월동비(1인 3만 원) 지원, 차상위계층 정부양곡 할인 지원, 2015년 처음 시행되는 달구벌복지기동대의 난방시설 개선(보일러 수리 205가구, 소화・감지기 설치 2천758가구)을 추진하고 있다.또한, 동절기 감염병 예방을 위해 계절인플루엔자 감시체계 강화(질병정보 모니터망 567개소) 및 예방접종 병의원 확대(8개 보건소 → 805개 병의원),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발생 우려 취약업소 점검 및 학교 예방교육을 실시(이력업소 18개소, 취약업소 173개소)했다.물가관리 등 시민생활 안정을 위해 LP가스시설 특별안전점검(11.23 ~ 12.18)과 연탄지원, 난방유지원, 에너지바우처 사업 등 서민층 연료수급 대책을 추진했으며, 기온 강하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를 위해 동절기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를 전년도보다 48% 확대한 1만6천전을 설치했고, 보호통․보온재 미비 계량기 1만690전을 정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했다.대구시는 구․군 및 공사․공단과 긴밀히 협력해 동절기 종합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시민들이 이번 겨울을 따뜻하고 안전하게 보낼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