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 일반회계 예산심사에서 세입분야는 세수 추계의 정확도 제고를 위한 지대구광역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지난 2~4일까지 3일간에 걸쳐 대구광역시 세입세출예산안과 기금운용 계획안에 대한 종합심사를 통해 예산안 심사를 마무리 했다. 2016년도 대구시가 제출한 예산안 규모는 6조 9천100억 원으로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세입예산 추계의 적정성, 경상예산의 긴축운영, 성과와 연결된 예산, 주요사업 사전절차 이행여부 등에 중점을 두고 심사했다. 특히 2016년은 민선6기 출범 3년차로 대구시의 창조경제·문화융성, 안전복지 등과 같은 핵심가치들이 한층 심화되고 성과가 구체화될 수 있도록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해 최종 6조 8천874억 원의 예산규모로 확정했다. 속적인 노력과 전년 당초예산 대비 2천489억 원(54.1%)이나 증액 편성한 부동산 취득세와 관련해 가계부채대책 및 미국의 금리인상(예상)에 따른 부동산경기 위축가능성에 대비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세출분야는 제출예산액 5조 1천427억 원 중 시내버스업체 재정지원, 경북도청사 임시활용 등 83개 사업에서 477억 2천300만 원을 조정해 시민중심의 복지 및 문화·체육사업과 시민생활불편 해소사업 등 122개 사업에 재배분했다.특히 지난 1년 동안 버스업체의 반발과 노선개편으로 인한 주민불편을 감내하면서까지 추진해 온 시내버스 준공영제 혁신안의 재정절감 규모가 기대에 못 미치는 데 대해 강한 질타와 함께 시내버스 재정지원금 225억 원을 삭감해 내부유보금으로 보관하고 보다 강력한 혁신안을 추가적으로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또 매년 막대한 예산이 투입됨에도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연구개발(R&D)사업 전반에 대한 문제점 및 대안 제시와 함께, 일부 목표달성이 불투명한 연구개발(R&D) 사업비 삭감 및 조정, 성과가 미흡한 연구기관의 운영비 삭감도 과감히 단행했다. 특별회계는 1조 7천673억 원 중 교통사업특별회계에서 3개 사업 225억 원을 감액했다.오철환 예결위원장은 이번 예산안 심사를 마치면서 “의정활동 중 그 어느 때보다 어렵고 힘든 일정을 보냈다”며 “특히 경북도청사 임시활용과 관련해 도심 공동화 우려, 실질적 예산절감 효과 미흡, 민원인 불편, 직원 업무의 비효율성 등에 대한 논란으로 격론 끝에 가부표결까지 가는 등 자정을 넘기면서까지 막중한 사명감을 가지고 심사에 임했다”는 소감을 말하면서 “재정이 열악한 가운데 어렵게 마련된 예산이니만큼 대구시는 집행에 있어서도 과연 주민의 뜻이 무엇인지를 살피고 좀 더 책임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