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 경북도가 밭작물의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7일 경북도에 따르면 밭 주산지 중심으로 경쟁력을 갖춘 조직화ㆍ규모화 된 공동경영체 육성을 위해 ‘2016년도 밭작물 공동경영체 육성 지원사업’신청을 오는 24일까지 받는다.밭작물의 경우 기존 FTA(한ㆍ칠레, 한ㆍ미 등) 체결에 따라 정부의 농산물 경쟁력 강화 대책이 쌀, 축산, 과수 등에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정책적 관심이 부족했다. 특히 최근 진행되고 있는 한ㆍ중 FTA는 밭작물의 피해가 예상됨에 따라 밭작물의 경쟁력 강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도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밭작물을 대상으로 한 공동경영체 육성사업에 나선 것이다. 사업지원대상은 밭작물 공동경영체 조건을 갖춘 생산자단체(법인ㆍ농협조직ㆍ협동조합)로, 밭작물(식량작물, 채소특작류) 주산지로 지정된 시ㆍ군에 포함된 조직이다. 공동경영체가 관할하는 재배면적이 해당 시ㆍ군의 해당 품목에 대한 전체 재배면적의 10% 이상을 차지해야 한다.다만, 생산농가와 단순 계약재배만 실시하고 생산지도ㆍ감독 및 공동생산을 지원하지 않는 조직의 경우에는 신청자격에서 제외된다.사업은 농식품부 주관 공모사업으로 진행되며, 전국 15개소 내외를 선정할 예정으로 경영체별 10억 원 이내 사업비가 지원된다.사업에 선정된 경영체 조직에는 △역량강화를 위한 농가 조직화 교육, 컨설팅 비용 △공동영농에 필요한 농기계ㆍ농자재 구입비 △품질관리를 위한 공동육묘, 공동선별ㆍ포장시설, 저장ㆍ가공시설 등을 지원하게 된다.도는 이번 사업 신청에 앞서 지난 3월 시ㆍ군 공무원을 대상으로 사전 설명회를 열어 희망 생산자단체를 물색한바 있다. 또 지난 5월에는 사업희망 생산자단체 대표 등을 대상으로 농식품부 담당사무관의 사업정책방향, 우수 경영체 사례 발표, 지정토론자들의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최웅 농축산유통국장은 “지금까지의 관 주도의 농산물 수급안정대책에서 벗어나, 민간 위주의 공동경영체를 적극 육성해 민간 참여형 수급안정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