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노재현·조영삼기자] 영토수호의 파수꾼이 될 울릉공항 건설이 본궤도에 올랐다.경북도는 7일 울릉공항 건설을 위한 내년도 예산 85억 원이 국회를 통과해 올해 확보한 예산 60억 원 등 145억 원으로 내년 초 설계를 착수한다고 밝혔다.울릉공항은 서울에서 울릉까지 1시간 만에 갈 수 있는 국내 최초로 도서지역에 건설되는 소형공항이다. 지난 11월 3일 ‘울릉공항 개발 기본계획 고시’ 후 설계에 필요한 예산을 추가 확보함으로써 공사를 위한 사전준비가 모두 갖춰진 셈이다. 건설사 선정은 국토교통부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중심위)의 결정에 따라 턴키방식(설계·시공 일괄입찰)으로 추진되며 연말께 부산지방항공청에서 조달청을 통해 입찰공고를 낼 계획이다. 사업은 사업기간 및 사업비 등을 감안해 2개 공구로 분할 추진된다.1공구 건설공사는 울릉군 을릉읍 사동리 일원에 활주로(730m×30m)와 호안(614.5m), 부지매립(13만3천466㎡), 가두봉 절취(349만6천54㎥), 항행안전시설과 기타공사 각 1식을 시공하는 것으로, 추정사업비는 2천159억 원에 이른다. 2공구는 2천839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활주로(470m×30m)와 호안(810m), 부지매립(10만3천189㎡), 가두봉 절취(523만732㎥), 기타공사 1식을 건설한다.또 여객터미널, 주차장, 진입도로 등은 대상공사 부지가 마련되는 시점에서 한국공항공사가 후속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특히 울릉공항 건설 사업은 당초 계획보다 규모가 더 커졌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3일 고시한 울릉공항 개발 기본 계획에 따르면 활주로 길이와 예산이 늘어났다. 활주 길이는 당초 1천100m에서 1천200m로 늘어났고 공사비도 당초 4천932억 원에서 873억 원 늘어난 5천805억 원으로 확정됐다. 공항 시설로는 계류장 (여객 5대·제빙1대)과 터미널 (지상 2층·3천500㎡), 주차장 (3천900㎡)이 들어선다.도는 울릉공항을 통해 하늘길이 새롭게 열리게 되면 서울에서 1시간, 항공요금 9만 원대의 대박노선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한국교통연구원(KOTI) 분석자료에 따르면 연간 440억 원의 비용절감 효과와 함께 연간 방문객도 현재 42만 명에서 8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최대진 지역균형건설국장은 “울릉도는 미국 뉴스전문채널 CNN 자매사이트(CNN GO)에서도 한국 방문 시 꼭 가봐야 할 곳 50선중 9위에 선정됐다”면서 “그러나 울릉도가 국내 유명 도서지역 중 접근성이 가장 취약해 울릉도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독도에 대한 국토수호를 위해서라도 하루 빨리 공항건설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