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부실기업 구조조정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대기업의 잇따른 ‘실적 쇼크’가 나타나면서 올해 들어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된 기업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대치로 증가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우리나라의 국가 신용등급이 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과 대조를 이뤘다.내 3대 신용평가사인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신용등급이 강등된 기업은 45개사(부도 1개사 포함)로 나타났다. 1998년 외환위기(61개사)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나이스(NICE) 신용평가도 올해 들어 10월까지 56개 기업의 신용등급을 내렸고, 한국기업평가는 1∼9월에 42개(부도 2개사 포함) 기업의 등급을 떨어뜨렸다.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을 때도 신용등급 강등 기업은 각각 33개, 34개 정도였다. 지난해까지는 장기간 업황 부진을 겪어온 조선ㆍ해운ㆍ건설 업종의 신용등급 하락이 두드러졌지만 올해는 모든 업종에서 전방위적으로 등급 하락이 일어났다. 삼성그룹은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중공업, 삼성정밀화학의 신용등급이 하락했고, 두산그룹은 두산건설, 두산인프라코어, 두산중공업, 두산엔진 등이, 포스코그룹에선 포스코플랜텍, 포스코건설, 포스코엔지니어링 등이 강등됐다. SK에너지, GS칼텍스 등 석유화학 기업과 항공업체의 등급도 하락했다. 세계경기 회복세가 늦어져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기업 구조조정 이슈까지 불거지자 대기업 신용등급도 뚝뚝 떨어진 것이다.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기업들은 당장 자금 조달에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회사채 시장이 위축되면 부실기업 구조조정이 빨라지는 측면이 있지만, 신용 경계감이 지나치게 확산될 경우 우량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까지 높아져 전체적으로 마이너스인 만큼 금융당국은 회사채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추이를 지켜보고 있지만 말고 실질적인 회복세를 가져올수 있는 대책을 내어 놓아야 한다.지금 국회에 계류된 각종 민생ㆍ경제살리기 현안이 산더미 처럼 누적되어 하루가 급한 상황이지만 과연 국회의원들이 경제살리기 보다 자신과 자당의 이익창출에 더 주력하고 있지는 않는지 묻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