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곤혹스런 처지에 빠졌다.   내년도 국회의원 세비(歲費)를 올렸다가 논란이 일자 급선회, 동결하기로 한 것이다.  국회는 국민들이 알지 못하는 사이 슬그머니 세비를 올렸다. 사상 유레없는 불경기에 국민들은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데 김영삼 전 대통령의 국상도 아랑곳 하지않고 정쟁이나 일삼는 국회가 세비를 밀실 인상했다니 기가 찰 일이다는 여론의 질타가 일파만파로 퍼져나가기에 이르렀다.  국회 운영위는 국회의원 세비를 구성하는 일반수당과 입법활동비 중 일반수당을 3.0% 올려 세비를 2% 인상하는 예산안을 의결, 예결특위로 넘겼다가 삭감당한 상태다.  예결위 여야 간사는 세비 3% 증액은 사실과 다르다며 정부 전체 공무원 인건비가 3% 인상이 되는 것이 세비에도 반영된 것으로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결정한 게 아니다 라고 했지만 정말 몰랐을까?  예산안에는 자신들의 세비가 포함돼 있으므로 내년에 자신의 수입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 보고 싶은 게 당연할 텐데 의원들은 누구도 세비 부분은 들여다보지 않고 그냥 예산안을 통과시켰다는 이해할 수 없는 해명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의원들은 자신의 세비가 오르는 걸 몰랐거나, 알면서도 인상했거나 두 경우다.  하지만 국회의원들이 자신들의 세비인상 사실을 전혀 몰랐다고 하기엔 석연치 않다. 운영위에선 여야 가리지 않고 다수 의원이 국회 인턴직원과 무기계약직의 처우개선을 요구했었다. 이 과정에서 공무원 일반수당 3% 인상이라는 기본전제도 인지했다.   따라서 예산안에 인건비 총액만 나와있어 세비인상을 정확히 알지 못했다는 설명만으로는 부족하다. 국회가 자신들의 세비가 오르는 걸 몰랐던, 알면서도 인상했던지 간에 국민들은 국회에 관한 말만 나오면 ‘또’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국회가 ‘일하지 않는다’는 프레임에 갇혀 해마다 급여를 두고 소모적인 논란을 반복하는 것도 이젠 지겹다.  그들의 약속되로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취약계층을 위한 예산을 증액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 했으니 조속히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 국회도 이번 기회에 국민앞에 겸손해야 하는걸 배워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