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경북도 출자·출연기관장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본격적으로 나오고 있다.민주적 대의기관인 지방의회가 공직후보자의 도덕성과 경영능력 등 자질이 입증된 사람을 해당기관에 임용될 수 있도록 하자는 주장이다. 단체장의 인사 전횡으로 인한 ‘인사 실패’를 사전에 방지하고 도민의 알권리 향상과 경영합리화를 통한 자치단체 재정건전성 향상을 위해인사청문회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 된 것이다.현재 서울, 인천, 광주, 경기 등 전국 9개 광역자치단체에서 인사청문회 성격의 인사검증을 실시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도지사의 의지에 따라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경주출신 배진석 기획경제위원회 부위원장은 25일 경북도의회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출자·출연기관장과 경제부지사 임명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도입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배 의원은 “도내 출자출연기관은 공기업 2개, 출연기관 28개, 보조단체 4개 등 총 34개에 달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이를 이끌어가는 수장은 53%이르는 18명이 퇴직 공무원 출신임을 감안할 때 도내 출자·출연기관장 자리는 공무원의 퇴직 후 자리보전과 인사적체 해소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여론조사에도 경북도의 관피아가 심각하다는 여론이 39.7%에 달했고 공기업사장 인사청문회 도입에 대해서는 68.2%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면서 인사청문회 도입의 당위성을 설파했다. 배 의원은 이어 “서울, 인천, 광주, 경기 등 전국 9개 광역자치단체에서 인사청문회 성격의 인사검증을 실시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도에서도 행정의 공정성과 투명성 및 도민의 알권리 제고와 능력 검증을 위해서 도 산하 출자·출연기관장에 대한 임명 전 의회의 인사검증절차(인사청문회) 도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한편, 현재 서울과 인천, 광주, 대전, 경기, 충남, 전북, 경남, 제주에서는 공기업과 경제부단체장 등에 대한 사전 검증을 위해 인사청문회 등의 형식을 도입해 실시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