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 벤자민인성영재학교 대구학습관은 28~29일까지 ‘벤자민 인성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이번 인성 페스티벌에는 대구학습관 벤자민학생 38명과 새로운 교육에 관심 있는 학생과 학부모, 교사 등 교육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벤자민학교는 5가지가 없는 5無 학교(학교, 시험, 과목, 교과지도 선생님, 성적표)이다. 1년 과정의 고교 대안학교인 벤자민학교에서 학생들은 지역 사회 내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공부하는 한편, 진로 탐색을 위한 다양한 직업 체험을 진행한다. 국내 최초 고교 자유학년제를 시행해 학생들이 스스로 프로젝트를 정하고 도전하는 과정도 포함되어 있다.행사는 28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29일 오전 11시부터 4시까지 진행된다.
이번 페스티벌은 올 한 해 벤자민학교에서 보낸 `꿈의 1년(Dream year project)`이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대구학습관 학생 전원이 꿈 찾아 학교 밖 세상에서 배운 1년의 결과를 관객들에게 선보인다.가장 눈에 띄는 코너는 바로 `감사의 인성퍼포먼스`다.
학생들은 올 한 해 자신들의 성장을 지켜봐 주고 이끌어준 부모와 교사, 멘토에게 손수 준비한 감사 메시지를 담은 엽서 전달식을 진행한다. 이 시간을 통해 감사함을 표현할 줄 아는 인성영재로의 면모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페트병으로 한민족 창세설화 속 `마고성`을 표현한 설치미술작품을 전시할 홍다경 양(19)은 "벤자민학교에서 꿈의 1년을 보내며 우리는 내가 누구인지,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내 꿈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었다. 이를 성장스토리 발표, 미술작품 전시, 노래나 악기 연주 공연 등을 통해 오신 분들께 우리가 얼마나 행복한 1년을 보냈는지 보여드리고 싶다"고 했다. 이틀간의 페스티벌을 학생들은 `벤자민` 팀과, `인성` 팀, `영재` 팀으로 나눠 운영한다. 28일에는 `벤자민` 팀의 마술 공연과 함께 다채로운 랩과 노래, 연주 공연이 이뤄진다. 29일에는 오전 11시부터 1시까지는 `인성` 팀의 노래와 피아노, 기타 연주 공연, 한민족의 전통무예인 단무도 공연이, 29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는 `영재` 팀의 노래와 피아노, 가야금 연주, 단무도 공연과 난타 공연이 이어진다. "무한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 윤혜빈"이라며 자기소개를 하는 윤혜빈 양(17)은 "초등학교 6학년 때 백혈병에 걸려 중학교 생활을 거의 못했다. 그리고 입학한 벤자민학교에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걱정도 많고 소심한 학생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동아리 밴드부에서 보컬로 활동하고 지구시민캠프로 제주도에 다녀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나눠줄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했다. 매일매일 정말 감사하고 행복하다"고 전했다. 윤 양은 페스티벌에서 성장스토리를 발표하고 노래를 부른다. 서울대를 가장 많이 보낸다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대신 벤자민학교를 선택한 서혁준 군(17)은 벤자민 입학 전, 후로 아버지와의 관계 변화를 발표한다. 서 군은 "예전의 나는 꿈도, 공부도, 생활도 무얼 하든 부모님의 눈치를 많이 보는 아들이었다. 그랬던 내가 벤자민을 통해 네팔 돕기 프로젝트, 학교 행사 기획 등을 앞장서서 하면서 아버지께서 지금까지 본 적 없던 나의 열정적인 태도에 많이 놀라셨다"고 했다.서 군은 "얼마 전 다녀온 가족여행에서 아버지께서 제게 `행복은 너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이니 무엇을 하든 네가 행복한 삶을 창조해나가라`고 말씀 하셨다. 예전에는 부모님이 시키는 것을 했으니 잘 안 되어도 탓을 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정말 내 책임이 된 것 같다. 앞으로 더욱 열심히, 즐겁게 내 인생을 창조하겠다"고 전했다. 서 군의 이러한 이야기는 페스티벌 성장스토리 나눔 시간에 발표될 예정이다.한편, 벤자민학교 1년 과정을 졸업한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와 목표를 분명히 한 뒤, 더욱 우수한 학교생활과 사회 활동을 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부모님 권유에 따라 교사를 지망했던 1기 성규빈 양은 벤자민학교를 통해 그림작가 멘토를 만나 작가로 진로를 정했다. 벤자민학교에서 벽화를 제작하고 개인전을 하면서 고교생 작가로 데뷔했다. 성 양은 세상을 이롭게 하는 ‘홍익 작가’가 되겠다는 꿈을 품고 안동에서 상경해 대입 준비를 한 결과, 16학년도 서울과학기술대 조형예술과 수시 전형에 합격했다.1기 김상훈 군은 벤자민학교를 졸업하고 경북 영동고등학교에 복학했다. 매사에 무기력하고 의욕이 없었던 김 군은 “벤자민학교 1년을 통해 뒤처지는 것이 아니라 나를 정말 사랑하는 법을 알게 되었다. 그 덕분에 벤자민 졸업과 함께 서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해 심리상담가가 되겠다는 꿈을 꾸게 되었다”고 말한다. 목표가 분명해진 김 군은 학교로 복학해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서 전교 1등을 연이어 하고 있다.벤자민학교는 자기 주도적 생활과 체험적 인성교육을 통해 인성이 바른 21세기 미래 인재를 양성하는 1년 과정의 대안 고등학교이다. 두뇌 활용법으로 주목받는 뇌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외국어, 운동, 예술, 프로젝트 학습 등 자기계발과 다양한 직업체험활동, 사회참여활동을 한다.서울, 부산, 대전, 대구 등 전국 18개 지역학습관에 현재 2기 학생 450여 명이 재학 중이다. 교수, 변호사, CEO, 예술가, 방송인 등 약 1천여 명의 전문직 멘토가 학생들에게 프로젝트 멘토링, 직업 현장 체험 및 꿈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s://www.benjaminschool.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