뜬금없이 개헌론이 대두되고 있다. 지난해 김무성 대표의 외국순방 중 개헌에 대한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후 잠잠하던 개헌론이 새누리당 친박계 핵심인 홍문종 의원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홍 의원은 외치(外治)는 대통령이 내치(內治)는 총리가 맏는 이원집정부제로 하는 것이 현재의 5년제 단임 대통령제보다 정책의 일관성도 있고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방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또한 반기문 대통령에 친박 총리에 대한 질문에도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얘기라고 거침없이 발언했다. 친박계는 지난해 상하이에서 김무성 대표의 개헌발언을 이구동성으로 비난을 퍼부은바 있다.박근혜 대통령까지 나서 개헌논의는 경제의 블랙홀이 될 수 있다며 공개적으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바 있다. 그랬던 친박계가 총선을 5개월 앞둔 지금에 와서 느닷없이 개헌론 카드를 만지작거리니 의아할 따름이다.친박계 윤상현 의원은 홍 의원 개인의견일 뿐이라며 진화에 나섰지만 파장은 오히려 더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야당에서는 박 대통령과 친박계의 장기집권 음모라고 발칵하고 나섰다.또한 경제실패와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덮기 위한 꼼수라며 반발하고 있다. 개헌구상이 반기문 대망론과 맞물리면서 박 대통령이 퇴임 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다듬고 있다는 소문도 꼬리를 물고 있다.대구경북 총선 물갈이에 이어 진실한 후보를 선택해 달라는 국민심판 발언까지 더해진 상황에서 대통령의 측근이 분권형 개헌론을 들고 나오니 이런 의심을 사는 것은 당연지사가 아닐 수 없다.청와대조차 이에 대한 무반응으로 경제 살리기와 민생살피기에 집중하겠다는 미지근한 반응을 내놓아 더욱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시대의 변화에 맞게 국가개조 차원의 선거문화가 새롭게 정비되어야함은 사실이다. 그러나 개헌논의는 모든 정파와 사회 각 단체들이 동참한 가운데 국민적 공감대 속에 투명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특정정파의 의도된 계산으로 정략적으로 밀어붙인다면 부작용과 혼란만 가중될 뿐 바람직하지 못할 것이다. 개헌의 필요성은 이미 오래 전부터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음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정치적 이해타산을 접목시킨다면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