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도시 역시 고령자만 넘치고 일할 수 있는 젊은이는 찾아보기 힘든 노인사회가 눈앞에 다가와 있다.2015년 현재 전체의 13.1%에 이르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오는 2040년에는 32.4%가 될 것이라는 통계청의 예측부터 충격적이다.전체 인구에서 노인이 30%를 넘는 초 고령화 사회 진입은 이제 시간문제로 다가왔다. 노인인구 폭증으로 가장 걱정되는 것은 경제 사회적인 부담의 증가다.생산 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고령자가 1970년 5명에서 올해 15명으로 늘었다. 지난 45년간 세배나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25년 뒤인 2040년에는 지금의 3.8배인 57명까지 폭증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로 인해 지난 2006년 노인빈곤율이 52.3%였던 것이 지난해는 62.5%에 이르러 노년층의 자살과 범죄가 새로운 사회문제가 된 것이 현실이다. 머지않아 노인들마저 숨을 거두면 농촌마을이 아예 사라지고 없어져 사회 경제적 기반의 붕괴도 남의 일이 아닐 것이다.이런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도시, 농촌 할 것 없이 대한민국 전역에서 젊음과 활기는 사라지고 경제가 침체하면서 사회적 갈등이 늘어나는 상황을 맞을 수밖에 없다.정부와 정치권은 물론 시민사회는 이러한 충격적인 상황을 현실로 받아들여 고령화 사회의 충격을 슬기롭게 풀어나갈 방안을 심도 있게 준비해야 할 것이다.노인빈곤 또한 완화하고 자살사태를 막아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폭넓게 고민해야 한다. 고령자 복지정책을 정부 미래계획의 핵심으로 삼으면서 장기적인 대처방안을 하나하나 마련하는 노력을 펼쳐야 할 것이다.지금 상황에서 초고령화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노인일자리 창출과 재취업 기회확대가 최상책일 것이다.노인들에게 활동기회를 제대로 마련해 줘야 취업, 주거, 경제문제 등에 시달리는 젊은 세대와의 갈등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우리 실정에 맞는 건전한 노인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다.정부와 기업과 시민단체는 일하고 싶어 하는 노인들에게 알맞은 일거리를 연결해 주는 시스템을 마련할 준비를 해야 한다. 노인들을 단순한 부양의 대상으로만 삼을 것이 아니라 사회공동체의 일원으로 활동할 영력을 넓혀 주어야 한다.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때문에 우리사회는 세대간 전쟁이 벌어질 위험에 노출돼 있다. 이제 노인문제는 우리사회의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