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놀기자]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등재`를 위한 주민공청회가 11일 오후 포항시 남구청에서 개최됐다.이날 주민공청회는 ‘지질공원’에 대한 개념과 추친 이유, 추진 현황 등을 설명해 주민들의 이해를 돕고 이로 인한 피해 발생 우려를 해소시키기 위해 마련됐다.‘지질공원’은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역을 보전하고 교육․관광 사업 등에 활용하기 위해 환경부장관이 인증한 공원이다.공청회 진행을 맡은 김정훈 이학박사는 “포항의 지질은 신생대 화석의 보물창고”라며 “지질학적 가치는 물론 생물, 생태, 역사 등의 다양한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특색 있는 대표명소를 활용하기 위해선 영덕, 울진, 경주 등과 함께 통합 브랜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며 “이러한 차별화 된 전략을 통해 관광명소로 활용한다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김 박사는 또 “지질공원은 개발이 아닌 ‘보존’에 중점을 맞춰 꾸준히 관리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선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참여해야 한다”며 적극 동참을 당부했다.주민들이 가장 우려하는 규제 강화 등에 대해선 “지질공원은 ‘보존과 활용’이라는 기본 개념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국립공원과 다르게 자연공원법의 행위 제한을 받지 않는다”고 말했다.현재 동해안 지질공원 후보는 포항시, 울진군, 영덕군, 경주시 등 4곳이다.이 중 포항시의 지질명소는 내연산 12폭포, 호미곶 해안단구, 구룡소, 두호동 화석산지, 달전리 주상절리 등 5곳이다.한편 시는 포항시 지질명소 5곳에 예산 5억9천만 원(국비 5억 3천100만 원․시비 5천900만 원)을 들여 관광정보시스템 구축 등 소프트웨어 개발, 통합 관광브랜드 개발, 홍보마케팅 기반구축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