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13일 치러질 총선에 적용할 새누리당의 경북 선거구획정 안이 사실상 확정되자 해당 지역주민들의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확정안에 따르면 군위ㆍ의성ㆍ청송의 선거구를 상주와 합치고 영주는 문경ㆍ예천과 통합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히자 해당 주민들과 정치권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영주의 경우 생활권이 다른 문경ㆍ예천과 선거구가 통합된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문경출신이든 영주출신이든 어느 누가 국회의원이 되어도 서로 다른 생활권을 대표할 수 없다는 것이다.정치적 논리로 끼워 맞춘 안을 지역주민들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교류가 없고 생활권이 서로 다른 도시와 통합선거구를 만든다는 것은 도저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생활권이 같은 봉화를 놔두고 이게 무슨 뚱딴지같은 짓이냐며 지역정서는 감안하지 않고 힘 있는 정치인들과 정치권의 입맛대로 조정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만약 이대로 선거구가 조정된다면 참여한 국회의원들은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으름장까지 놓고 있다. 상주, 문경지역 주민들도 새누리당의 선거구획정 안에 대해 생뚱맞다는 반응을 쏟아내고 있다. 상주와 문경 주민들은 상주와 문경은 신라시대부터 상주목 문경현 이었을 만큼 한 고을이었고 현재까지 법원과 검찰청, 세무서까지 관할이 한 번도 바뀐 적이 없을 만큼 가장 이상적인 통합지역으로 기대해 왔다며 상주와 문경을 떼어 놓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군위ㆍ의성ㆍ청송지역 주민들 또한 상주와 통합한다는 것은 얼토당토 않는 일이라며 차라리 영천과 합치는 것이 대안일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물론 지역구 인구편차 2대1에 맞춰 선거구를 조정하려면 각 지역의 생활권이나 문화적 기질적 특성을 모구 고려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그러한 지역적 특성을 전혀 무시해서는 안 된다.교통의 발달로 지역 간 이동이 쉬워져 생활권이 광역화됐다고 해도 특정지역의 문화적 기질적 특성은 여전히 살아 숨 쉬며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기 때문이다.결국 선거구획정에서 이런 특성을 최우선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특정인의 당선 실익을 먼저 고려한 것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