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윤식기자] 영덕군 천지원전 건설이 찬반투표로까지 논란이 이어지게 된 것은 지난 2010년. 당시 정부와 한수원은 신규 원전을 건설할 자치단체를 공모했다.이에 영덕군은 2010년12월30일에 군민의 대표기관인 영덕군의회의 동의를 받아 영덕읍 석리·노물리·매정리, 축산면 경정리 일원 324만㎡의 부지에 140만㎾급 원전 4기 건설을 신청했다.이후 정부는 2012년 영덕읍 석리 일대 320여만㎡를 신규 원전 4기 유치 지역으로 지정 고시하고 지난 7월 2026~2027년 원전 2기를 영덕에 건설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영덕 핵발전소 찬반 주민투표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지난 2010년 영덕원전 유치를 신청하는 과정에서 4만 군민의 의사를 확인하는 과정이 전혀 없었기에 주민투표를 통해 군민의 목소리를 직접 확인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찬반논란이 불거졌다. 특히 이들은 2015년 10월 13일 오전 11시 기자회견을 통해 ‘주민투표관리위원회`의 출범을 알리는 동시에 현판식을 갖고 노진철 교수(경북대 사회학과)와 영덕군선관위 이민석 부위원장을 공동위원장으로 추대, 원전유치 찬반을 묻는 주민투표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들어갔다.또 지난해 11월 한국농업경영인연합회는 영덕군의회에 원전유치여부 결정을 위한 주민투표 실시를 청원한데 이어 지난 4월 영덕군의회의 여론조사에서 65.7%가 주민투표의 필요성이 대두되자 이를 직접 확인하고자 주민투표관리위원회가 출범하게 된 것.그러나 이후부터 영덕군은 원전유치 찬반투표를 둘러싼 치열한 논쟁이 불거진다. 주민투표의 법적 효력 등을 둘러싼 논쟁도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사정이 이렇다보니 일부 군민들은 혼란스러워 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누구의 주장이 맞는지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다는 것. 충분히 알아야 권리가 있지만 이를 충족시켜주지 못했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영덕군과 영덕군의회 두기관에 대한 애매한 태도도 논란의 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정부와 군민들의 눈치만 보며 소신 있는 정치를 펼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것.영덕읍 화수리 최 모(59) 씨 는 "한수원의 막강한 자금지원으로 운영돼 오고 있는 찬성단체와 강성의 외부 반핵, 환경 단체들이 4만 군민을 대신할수 없는 것"이라며 "더늦기 전에 찬성이든 반대이든 군민으로부터 선택 받은 선출직 단체장, 의원 들이 분명한 입장을 밝혀 갈등에 늪에 빠진 군민들위해 소신있는 정치를 펼 것"을 주문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