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윤식기자] 영덕핵발전 주민투표관리위민간주도로 추진되면서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영덕원전(천지원전)유치 찬반 주민투표가 11~12일 양일간 실시된다.(관련 기사 3면)이에 따라 정부의 불법주장에 맞서 실시되고 있는 주민투표는 그 결과와 함께 투표율 등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영덕핵발전 유치찬반 주민투표관리위원회(이하 위원회)가 1996년 11월11일 이전 출생 3만4천명의 유권자를 대상으로 하는 주민투표는 11-12일 양일간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임시투표장에서 실시된다. 주민투표를 추진하는 위원회는 영덕원전 유치 신청과정에서 4만군민의 의사를 확인하는 과정이 없었다며 원전유치 찬반을 묻는 주민투표에 불을 붙인데 이어 영덕군의회가 여론조사에서 주민투표의 필요성이 높게 나오자 주민투표가 더욱 본격화 된 것.반면 이날 실시되는 찬반주민투표와 관련,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은 지난 5일 성명서를 통해 "적법한 절차를 거쳐 결정된 국가정책에 대해 법적 근거 없는 투표로 번복을 요구하는 행위는 절대 용인하지 않는다"고 천명했다.6일 김관용 경북도지사도 "법적인 근거나 효력이 없다는 중앙정부와 같은 노선임을 공식화하고 원전건설 찬반투표는 심각한 갈등과 분열만 조장할 뿐”이라며 “영덕 군민들은 아무런 법적인 근거나 효력이 없는 주민투표에 동조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이희진 영덕군수도 최근 원전유치 찬반여부를 묻는 주민투표 실시에 대한 반대 입장을 재차 표명했다.이 군수는 "주민투표 취지에 공감하며 주민들의 의사를 존중하고 따라야하는 것이 주민자치의 당연한 귀결이지만 그것을 법이 인정하지 않는다면 따르지 못하는 것 또한 자치단체장의 몫"이다이 군수는 또 “더욱이 사회갈등을 해결해나가야 하지만 지도자의 책무도 권한이 있을 때 가능한 것으로 그 권한은 이미 지난 2010년에 다 써버렸기에 안하는 것이 아니라 하지 못함으로 이해하고 함께 난제 해결의 지혜를 모아주길 당부한다"며 "주민투표에 동참과 지원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