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동선기자] 경북지역의 일선 교육청은  학원, 교습소 등을 관리감독하는 인력이 턱 없이  부족해 인력 충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최근 경북도 시ㆍ군교육청은 수능시험을 앞두고 불법운영 및 고액과외 등 사설 교육기관의 불탈법을 찾아내기 위해 집중적으로  점검을 펼치고 있지만 단속기관인 교육청의 담당부서 인력이 대상 업소수에 비해 너무 부족해 제대로 된 단속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A교육청 한 관계자는 “4~5명에 불과한 소수의 인력으로 2천여 곳이나 되는 우리 지역의 학원 등을 제대로 단속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단속을 나가면 학원법 등을 지키고 있는지 주요사항만 확인하고 장부 등 허위기재사실 여부나 영수증 등을 꼼꼼히 살펴서 지도 점검하기란 현재 인력으로는 쉽지않다”고 털어놨다. 특히 53만의 인구가 밀집된 포항의 경우,  일반 교습소가 400여 곳, 개인과외교습소가 1천500여 곳, 학원이 900여 곳 등 3천여 곳에 달하는 사설교육기관이 있지만 지도단속을 펼치는 교육청 직원은 고작 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경북지역에서 포항 다음으로 사설교육기관이 많은 인구 45만의 구미시의 경우에도 사정은 마찬가지인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포항과 구미의 경우에는 사설교육기관도 함께 증가해 기존의 일선 교육청의 현장관리 인력만으로는 제대로 된 관리감독을 펴기가 어려워 인력 보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또 인구가 이들 도시의 10분의 1에 불과한 도내 시ㆍ군 단위의 소도시 교육청은 학원 등을 관리감독하는 인력이 3~5명에 이르지만 사설교육기관은 기껏 해봐야 300여 곳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인력구성비율도 인구와 대비해  맞지 않다는 주장이다.  경북도교육청 관계자는  “일선 교육청의 일손부족현상은 전국적으로 겪고 있는 현상으로 정부차원의 특별예산이 있어야 해소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시 군 단위의 소도시 교육청에서는 해당부서의 직원들이 학원관리뿐 아니라 다른 부서의 일도 병행하고 있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북도교육청은 중앙정부가  일선 교육청에 특별예산을 지원,  교육청 자체적으로 일용직 근로자를 채용해 인력을 보강해 왔으나 최근 이 예산이 중단됐다고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