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 대구시의회 최광교 의원(기획행정위원회ㆍ사진)은 11월 정례회 행정사무감사를 위한 사전 현지조사를 위해 대구 전역의 대피시설과 비상급수시설을 선별해 긴급 점검했다. 그 결과 일부지역의 경우 대피시설과 비상급수시설이 전혀 없었고 상당수가 대피시설로서의 기능이 약한데다 이미 없어진 시설마저 대피시설로 지정되어 있는 등 비상시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대피시설 관리가 엉망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세월호 사고가 있은 지 2년이 다 돼가지만 변한 것은 하나도 없다고 지적했다. 최광교 의원은 대부분의 대피시설에 유도와 안내 표지판이 없고 지정된 지 오래 돼 시설이 낡고 노후화되어 대피계단이 좁고 급경사여서 장애인이나 노약자는 이용이 어려운 시설이 많았다고 밝혔다. 게다가 대피시설 상당수는 시설사용자의 휴업으로 닫히거나 시설 상호명도 다르게 기재돼 있었고 10년 전에 폐업한 대피소의 이름이 버젓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 관리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또 10년 넘게 대피소 인근에 거주한 주민조차 대피시설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해 자치단체의 대주민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거나 홈페이지 안내의 효과가 별로 크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이어 비상급수시설 관리에도 문제점이 많이 노출됐따.중구는 지난해 검사이후 검사성적을 업데이트하지 않았고 수성구는 음용수와 생활용수 구분을 하지 않고 있었다. 서구는 검사성적 마저 공개하지 않는 등 각 기초단체마다 비상급수시설 관리가 통일되지 않아 재난시 오히려 시민안전에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최광교 의원은 “최근 들어 지구환경 변화에 따라 지진, 홍수 등의 자연재해는 물론이고 방사능 오염 등에 대한 국민적 공포도 높아지고 있어 재난의 성격에 맞추어 제대로 된 대피가 이뤄질 수 있도록 시설을 개선하고 장애인, 노약자 등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대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한다”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