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천지원전이 한창 사회적 화두이다. 오는 11월 11일과 12일에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확정된 천지원전 유치 찬반 주민투표를 둘러싸고 사회적 갈등이 증폭되고 있고, 급기야는 지역사회의 분열을 우려하는 목소리마저 나오고 있다. 이제는 ‘원전’이란 단어에 피로감을 느낄 정도로 원전의 안전성, 수용성에 대한 갑론을박이야 하루 이틀 이야기가 아니지만, 주민투표의 주체인 영덕군 내부 갈등과 군민들의 원전 스트레스는 심각한 수준으로 누적되고 있다. 최근 5년,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겪고 다양한 비리와 사건으로 점철된 우리나라의 원전산업계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각은 극도로 예민하고 비판적이다. 이는 원전이 무용하다거나 즉각 폐기해야 한다는 극단적 반핵이기 보다는 원전의 청정성과 경제성은 인정하되 투명하고 안전한 원전 운영을 향한 국민적 열망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원자력에 대한 대체재가 빈약한 현 시점에서 신규원전 건설 등 원자력이 필요하다는 각종 원전 수용성 조사결과가 이를 뒷받침 하고 있다. 반면, 내 고장 원전 건설에는 반대한다는 이율배반적 의견이 지배적인데 이는 원전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오해와 잘못된 정보에서 비롯된 결과이다.넘쳐나는 원전에 대한 잘못된 정보는 주로 방사성 물질 누출과 이로 인한 암 발병, 원전주변 지역 생태계 파괴 등 환경적 내용이 대표적이다. 실상 우리나라 원전에서 방사성물질이 누출되고 이로 인한 인명피해가 난 사고는 단 한건도 없었다. 한수원이 시행하는 환경영향 평가에서도 특별한 이상 징후도 보고되지 않고 있으며, 서울대 의학연구원에서 20년간 수행한 역학조사에서도 원전 인근지역 주민들의 갑상선암이 원전과 연관되는 과학적 근거가 전혀 없다는 것이 밝혀지기도 했다. 원전 운영측면에서는 IAEA에서 정의하는 원전사고에 속하는 사례 또한 단 한건도 발생된 바 없다. 반면 원전 유치를 통한 지역발전 효과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신고리5,6호기의 경우 원전 건설에만 약 9조원이 투입되고, 이중 2,500억 원이 지역 지원금이다. 완공 후 정상 운영 중에는 사업자 지원사업, 지역자원 시설세 및 지방세 등 약 1조6천억 원이 해당지역에 지원된다. 건설 중 지역기업 우대제도, 지역주민 채용 할당과 건설 중 1,500명 이상의 지역주민 고용창출, 원전 건설 및 운영에 따른 인구유입 등 원전 유치를 통한 인구증가와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는 어마어마하다. 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는 2조 2천억 원 규모의 10대 지역발전 사업을 제안하고 영덕의 장․단기적 발전을 위한 실질적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나섰으니 영덕의 미래는 충분히 보장된 것 아닌가?“술잔에 비친 뱀 - 배중사영(杯中蛇影)”이라는 진나라 악광과 그 친구의 이야기가 있다. 지나친 의심을 품고 스스로 고민한다는 뜻으로 사람은 살면서 불필요한 걱정거리로 좌불안석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그릇된 정보인식에서 비롯되어 나도 모르는 사이 이상 지각 증세를 보이는 것인데 가장 크게는 상대방을 믿지 못하는 마음이 원인이라고 한다. 우선 정부와 사업자가 해당군민을 위한 일관된 자세가 바탕이 된다면 군민들은 이들의 약속을 신뢰해야 한다. 올바른 지식과 정보에 바탕한 냉철한 판단이 지금 영덕군민이 겪고 있는 내부 갈등과 원전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급선무가 아닐까? 원전에 대한 왜곡된 지식과 정보에 기인하여 진실을 취하지 않음으로서 보장된 미래가 송두리째 흔들리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될 일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