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행정대학원과 한국행정연구소부설 정부경쟁력연구센터의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회의원은 1인당 국민소득의 5.27배의 연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 34개국 가운데 일본은 5.66배, 이탈리아는 5.47배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같은 북유럽국가 의원의 연봉은 1인당 국민소득의 2배가 안 되었다.받고 있는 연봉(세비)과 견주어 국회의원이 얼마나 일을 잘하고 있는가의 의회 효과성을 평가했더니 OECD 회원국 중 비교 가능한 27개국 가운데 26위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한국 아래에는 이탈리아뿐이었다. 세금으로 충당하는 의원보수와 견주어 한국국회가 법안발의나 처리는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또한 정부의 경쟁력은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16위로 평가됐다. 지난해 18위에서 두 단계 올랐다.연구센터가 조사를 처음 시작한 2013년 성적(16위)을 2년 만에 회복한 셈이다. 의회경쟁력 평가는 올해 처음 이뤄졌다. 국회의원의 연봉대비 행정부 견제효과에서도 한국의회는 25개국 가운데 23위로 최하위 권이었다.연구센터는 입법효율성이 낮고 지나치게 지역이익을 대변한다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인구대비 의원수는 34개국 중 31위로 한국의 의원수가 OECD 회원국 중에서는 적은 편으로 조사됐다.경제부터 교육정책까지 10개 분야별 정부경쟁력 성적도 공개했다. 한국의 전체 순위가 올라가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경제정책이다. 노르웨이, 미국, 스위스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7위보다 세 단계 상승했다.경제 분야에 대한 높은 정부 지출비중과 상대적으로 양호한 재정건전성, 경제성장률, 외채비율이 순위를 끌어 올리는 역할을 했다.한계는 있다. 한국정부는 현재 거둬들이는 세금보다 더 많은 돈을 지출하고 있다. 연구센터는 현재 재정건전성은 우위에 있지만 나빠지는 속도가 빠르다며 한국형 저성장 경제사회에 진입하고 있어 장기적 관점의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보건복지 정책에서 한국은 34개 회원국 중 29위에 그쳤다. 최하위 권에 머물렀으며 정책분야별 순위에서 최저 성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