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보아기자] KTX 포항역의 포항시 공영주차장 활용방안과 관련, 근본적인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인근 민간토지를 임대해 활용하고 있지만 임대계약 만료 이후 뚜렷한 대책이 아직 마련되지 않고 있기 때문.포항시가 올해 초 KTX 개통에 맞춰 포항시가 준공, 현재 운영 중인 포항역 공영주차장은 1만4천700㎡ 면적에 405면 규모를 갖추고 있다. 코레일이 자체 운영하는 부설주차장으로 부족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라 포항시가 자체예산을 들여 조성했다. 이용요금은 1일 최대 5천 원으로 코레일이 운영하는 주차장 1일 1만 원(KTX 승차권소지자 7천 원)에 비해 50% 저렴해 이용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포항시는 이같은 공영주차장 확보를 위해 지난 3월부터 오는 2018년까지 3년동안 매년 4천500만 원의 임대료를 지불하고 있다.문제는 임대가 만료되는 오는 2018년 3월, 계약을 연장하거나 토지를 매입하지 못하면 공영주차장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심각한 주차난이 우려되기 때문이다.특히 포항역 이용객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면 주차난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된다.여기에다 코레일의 주차장확보계획이 당초 분석부터 미흡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일각에서는 제기하고 있다. 이에따라 포항역세권개발과 함께 주차장확보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은 설득력을 얻고 있다.포항시는 이와 관련 “아직 임대만료까지 시간이 많이 남았고 역세권 개발이 어떻게 될지 불분명한 상황이지만 추가분석 등을 통해 최종 사용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