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역 지자체마다 가을축제가 성시를 이루고 있다. 우리는 지금 축제에 젖어 콧노래만 부르고 있을 때가 아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총부채는 한 해 동안 2조 원가량 늘어났다. 행정자치부는 지방재정 관련 정보공시를 통해 전국 지자체의 재정상황을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2014년 말 기준 전국 지자체의 총부채는 49조8천84억 원으로 나타났다.1년 전보다 1조9천959억 원 늘어난 것이다. 부채는 최소 수입보장((MRG) 계약에 따라 민간 사업자에게 지급해야할 운영수입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현금 흐름 중심의 채무보다 포괄적인 빚을 의미한다.지자체의 부채가 늘어난 것은 축제와 같은 대형행사 등을 무리하게 개최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전국의 대형행사는 지난해 361건(광역단체 5억원이상, 기초단체 3억원이상)이 열렸다. 행사비용으로 3천289억 원이 소요됐지만 수익은 728억 원에 불과했다.경북이 5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강원이 47건, 경기도가 42건, 경남 41건 등이었다. 가장 돈이 많이 들어간 행사는 충북의 오송 국제바이오산업엑스포로서 행사비용이 무려 110억여 원이 소요됐다.이렇게 지자체 빚이 연간 수조 원이 늘어만 가는 가운데 지난 10월 우리나라 수출은 15.8%나 줄어들었다. 2008년 8월 글로벌금융위기가 휩쓸고 간 뒤 6년2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진 것이다.월별 수출증가도 10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수출급락 쇼크에 더해 수출 감소세가 만성화되고 있다는 점이 더욱 걱정스러운 부문이다.수출급락 이유로는 중국의 성장둔화와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글로벌 수요부진으로 세계 교역규모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지난해까지 증가세를 보였던 세계 교역규모는 올해 12%나 감소했다.수출급락으로 받는 충격은 대구 경북지역도 다르지 않다. 지역수출의 메카 구미산업단지 만해도 수출품 중 전자제품비중이 60%가 넘고 수출대상국도 중국에 지나치게 편중돼 있다.또한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등 중간재가 대구 경북지역 제조업의 주력 수출품이라는 검에서 중국의 영향을 더 심각하게 받을 수밖에 없다. 방법은 수출환경에 맞게 지역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업구조조정을 하는 것만이 유일한 해법이다. 이제 늘어나는 지자체 빚과 줄어드는 수출에 대비할 방법을 찾아 지혜를 모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