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정부는 국가의 신성장 동력으로 창업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창업생태계가 아직 제대로 돌아가지 않다보니 우리나라의 창업 후 10년 생존율은 10% 미만에 불과하다.오랫동안 경쟁에서 살아남은 중소기업을 보면 대기업과 중견기업에서 경험과 인적네트워크를 쌓은 뒤 창업한 이들이 많다.슬픈 얘기지만 갓 대학을 졸업한 청춘이 패기만으로 창업해 일정 수준으로 성장시킨 경우는 매우 드물다. 사업을 키우는데 필요한 리더십과 책임감, 그리고 글로벌 식견까지 갖추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따라서 대졸자에 묻지마 식으로 창업을 유도하는 것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런 청년 창업리스크를 줄이면서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것이 교수와 학생이 팀을 이뤄 대학에서 실험실 창업을 하는 경우다.선진국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사례다. 좋은 예로 벤처창업의 대명사로 알려진 미국의 스탠포드대학은 1930년부터 2011년까지 졸업생 30%가 창업해 약 4만개의 회사를 만들고 540만 명의 일자리를 창출했다.그러나 우리나라의 대학교육은 산업과의 연결고리가 취약하다보니 낯선 풍경처럼 느껴진다. 이는 제도적 문제가 한몫을 한다.한국의 이공계 교수채용 심사기준에서 가장 배점이 높은 항목은 국제학술지에 얼마나 많은 논문을 실었는지 여부다. 그러다보니 산업계가 요구하는 엔지니어 교육은 후퇴하고 논문에만 매달린다.그렇다고 성과가 좋은 것도 아니다. 지난해 국가연구개발 투자비는 약 17조8천억 원이었으며 과학기술연구 인력의 70%가 대학에 있지만 매년 실시하는 교수 업적평가의 주요 항목도 교육, 연구, 봉사 등이며 어디에도 창업의 성과를 인정하는 곳은 없다.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창조경제는 학문의 경계를 넘는 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고 산업의 경계를 넘는 융합형 신산업을 창출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해법이 실험실 창업을 독려하는 것이다.선진국에서는 대학차원에서 교수와 학생이 개발한 신기술의 창업화를 지원한다. 이렇게 해야 대졸자의 전문성과 경력을 키워 창업 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벤처 생태계가 제대로 돌아가도록 해서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를 늘일 수 있다.이제 우리도 선진국형 대졸자 창업에 지혜를 모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