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류길호기자] 지방 이전 공공기관 인력 이탈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국토교통부가 28일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에게 제출한 지방이전 공공기관 퇴직자 현황에 따르면, 8월까지 지방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은 총 86곳으로 이들 86곳의 이전 직전 임직원 수는 총 3만125명이었다. 이 가운데 지방 이전 완료 후 지난 8월말까지 퇴직자 1,384명 중 희망퇴직자는 총 693명으로 퇴직자 둘 중 한 명은 희망퇴직자인 것으로 밝혀졌다.희망퇴직자 발생 상위 기관은 우정사업정보센터가 58명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교육학술정보원 54명, 한국세라믹기술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가스안전공사 각각 24명 순이었다.희망퇴직자 비율은 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 35.71%로 가장 높았고, 중앙신체검사소 32.1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93%, 농식품공무원교육원 20.51%, 영상물등급위원회 18.18% 순으로 나타났다.이어 희망퇴직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혁신도시는 광주·전남(170명)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대구 105명, 충북 84명, 부산 71명, 경남 69명 등 순이었다.혁신도시별 희망퇴직자 비율이 가장 높은 혁신도시는 제주(12.89%)였으며, 충북 4.63%, 대구 3.52%, 전북 2.44%, 광주·전남 2.34% 등 순이었다.이 의원은 “지방 이전에 따른 거주지 및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희망퇴직자가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혁신도시의 편의시설 및 교통 인프라를 확충하여 계속되는 인력 유출을 차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