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보아기자] 2015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이 철강기업 및 시민의 참여로 진행되면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가운데 29일 오후 2시 포항시립미술관 세미나실에서 학술세미나를 진행한다.이번 세미나는 ‘삶의 기술, 철의 예술-도시에 녹아든 예술프로젝트’라는 주제로 철이 우리의 삶 내지는 우리가 사는 도시에 어떻게 자연스레 스며들어 갈 수 있는지를 국내 전문가들과 시민이 함께 토론한다.이날 세미나에서는 포항의 역사적 가치로서의 철에 관해 살펴보고, 나아가 역사ㆍ문화적 가치를 지닌 철이 예술을 통해 우리의 삶과 어우러질 수 있는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이 되기 위한 방향성을 깊이 있게 논의한다.세미나는 1부와 2부로 나누어 진행된다.먼저 1부에서는 구본호 박사(부산 티엘갤러리 대표)의 ‘문화예술을 통한 도시브랜딩’에 대한 발제가 있을 예정이다.이는 국내ㆍ외 사례를 들어 도시를 성공적으로 재해석해낸 예술프로젝트가 어떻게 도시 이미지를 구축해내며, 도시브랜딩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이를 바탕으로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이 향후 포항의 도시브랜딩에 이바지하고, 도시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예술프로젝트로 거듭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여러모로 짚어본다.이어 김동규 부산대 사회철학 박사의 ‘도시의 권리, 포항-공공예술과 문화민주주의’에서는 공공예술의 이론적 토대를 살펴본 후, 지역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세계적으로 확장해나갈 수 있는 공공예술과 관련한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의 앞으로의 방향을 살펴본다.마지막으로 김지연 독립큐레이터는 `도시재생예술프로젝트의 현장-철의 도시 예술프로젝트를 위한 제언`이라는 주제로 기획자의 입장에서 도시를 바라보고, 지역성을 드러내는 기획의 방법론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이는 해인아트프로젝트, 창원조각비엔날레, 문래동 예술프로젝트 등을 사례로 들어 포항이 가진 정체성과 철에 대한 문화적 콘텐츠를 어떤 시각으로 다룰 것인지에 대한 제언이다.2부 종합토론에서는 강두필 한동대 언론정보문화학부 교수와 강영민 팝아티스트, 김재환 경남도립미술관 큐레이터, 황석권 월간미술 기자가 시민과 함께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 전반에 관한 심도 있는 토론을 펼친다.토론자들은 ‘철’이라는 포항의 문화적ㆍ도시적 코드를 지역정체성에 맞게 재해석해내기 위한 방향을 주제로 토론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