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취업하고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는 수치로도 확인된다. 올해 7월 기준으로 청년층 실업자 수는 41만6천명에 달했다.전체 실업자의 절반에 가까운 인원이 청년실업자다. 당장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채 취업준비를 하고 있거나 단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젊은이 숫자까지 합하면 실질적인 청년실업자는 110만 명에 달하고 체감실업률은 22%까지 치솟는다는 분석도 있다.1970년대와 1980년대에 한국은 눈부신 고도 경제성장기를 보냈다.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취직할 수 있었다.그러나 1990년대 이후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세계적인 경제위기가 상시화 되면서 기업이 더 이상 예전과 같이 충분한 일자리를 만들어 낼 수 없게 됐다.구직과 이직이 극단적으로 어려워지고 기성세대는 고연봉과 높은 사내 복지혜택을 누리는 반면 젊은이는 점점 빈곤해지는 지금 이 상황을 그대로 두고 보기만 할 것인가?노동시장개혁이 시대적 화두가 된 것은 바로 이러한 고민의 결과다. 지금 우리 노동시장은 낡은 틀에 얽매여 있다.고도 성장기에 제조업 종신고용 관점에서 형성된 현재의 노동시장은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수준을 결정하는 형태의 임금체계와 고용보장을 중시하는 체계를 이루고 있다.저출산 고령화가 본격화된 사회에서 이러한 임금체계와 고용보장을 고수하는 것은 무너지고 있는 집의 벽돌을 빼는 것과 다름없다. 기업의 지급여력은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특히 정년이 법률로 연장돼 퇴직연령이 급격히 상승하는데도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을 계속 올려야 한다면 기업의 신규채용 여력은 줄어들게 되고 그만큼 청년은 취업기회가 줄어들 것이다. 이를 최소한으로 줄이려면 노동시장의 개혁뿐이다.임금피크제 도입과 임금체계의 총체적 개혁이 동반되어야 한다.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직무와 성과에 따라 임금이 결정되도록 해야 한다.노동개혁이 늦춰지면 취업을 기다리는 우리 젊은 청년들은 희망을 잃게 되고 따라서 우리 경제의 앞날은 점점 어두워 질뿐이다.그러므로 노동개혁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