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11일 민간 주도의 원전 찬반주민투표를 앞두고 있는 영덕은 요즘 매우 혼란스럽다. 원전 반대 측과 정부, 한수원 등의 추진 측, 그리고 영덕군은 각자의 입장과 해법을 내세우며 주민들을 상대로 맹렬하게 홍보전을 벌이고 있다. 투표일이 가까워질수록 각 진영의 입장 차이가 첨예해지면서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최근 신흥 개발국가의 급성장으로 2007~2030년간 세계 1차 에너지 수요는 약 40% 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2008년도 국제유가 급등을 경험한 이후에는 오히려 원자력이 더 경제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에서 1982년부터 2010년까지 물가는 약 240% 상승한 반면 전기요금은 고작 18.5% 증가에 그칠 정도로 저렴한 가격으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왔는데 이는 원자력 발전 비중을 지속적으로 높였기 때문에 가능한 결과였다. 원자력 발전은 발전원가 중 연료비의 비율이 12% 정도로 매우 낮고 발전원가가 타 발전원에 비해 가장 저렴하기 때문에 경제성에서도 훨씬 유리하다. 원전은 건설부터 운영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나 연료비 비중이 낮아 운영비가 화력발전소에 비해 적게 소요되며, 건설과정에서 대규모의 고용창출 효과를 가져 온다. 원전 건설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한수원(주)은 신규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원전 건설 및 운영에 지역 업체 및 주민들을 활용토록 참여 업체에 적극 권고하고 있다. 물론 원전 운영은 고도의 기술성과 전문성을 요구하여 지역주민 고용에는 한계가 있으나, 지역과 함께하는 원전 실현을 위해 지역주민 채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외에도 지역경제 활성화와 복지수준 향상을 위해서 지역상품 구매 및 복지시설 건립 지원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원자력 발전은 건설과 플랜트 등의 중공업 부문, 계측 등의 첨단산업부문, 원전 설계, 분석 및 해체기술 기술력 향상 등 산업계 전반의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점도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건설업계와 중공업 부문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우리나라 부가가치 창출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원자력은 발전 이외에도 방사선을 이용하여 암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은 물론, 비파괴 검사, 고고학 연구, 농작물 품종개량, 살균, 지질조사, 공해 및 유해물질 조사, 범죄수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원자력의 무궁무진한 가능성과 잠재력도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여야 한다. 최신기술을 통한 안전성 확보, 지속적인 국민과의 소통과 화합, 투명한 운영 등의 정공법만이 원전 산업에 대한 국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유일무이한 방법이다. 원전 산업이 국민들의 무한한 신뢰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와의 동반성장을 이룩하고 더 나아가 국가 전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명실상부한 ‘효자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날이 곧 도래하기를 기원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