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장관, 국방부차관 등을 전격 교체했다. 유기준 해양수산부장관은 3선, 유일호 국토교통부장관은 재선의 새누리당 국회의원이며 백승주 국방부차관은 내년 총선출마를 노리는 인물이다.장관인사와 개각, 정무특보의 잇단 사임은 총선 공천 룰을 놓고 친박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주축으로 한 비박계의 갈등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친박계의 몸집 불리기로 보인다.또한 박 대통령의 미국순방에 동행했던 두 의원이 귀국 다음날인 지난 19일 정무특보직 사의를 표명한데는 대통령의 뜻이 반영됐다는 해석도 나온다.여권의 한 인사는 대통령과 소통이 되는 정무특보 출신의원들을 국회로 돌려보내 청와대가 공천에 강하게 개입하겠다는 뜻이 아니겠느냐고도 해석했다.아무튼 3권분립의 정신을 규정하고 있는 현행 헌법상 행정부를 견제해야 하는 책무가 있는 국회의원들이 정부부처의 수장이나 대통령의 특보를 맡는 것이 적절하냐는 논란은 어제 오늘에 있어온 일은 아니었다.여기에 더해 이번에 물러난 인사들의 재임기간이 불과 7개월 밖에 되지 않는 점에서 총선출마 배려를 위한 경력 쌓기가 아니냐는 비난까지 쏟아지고 있다.문제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정치권에선 연말께 총선용 순차 개각이 이뤄질 것이란 얘기가 심심찮게 나돌고 있다.최경환 경제부총리를 비롯한 황우여 교육부총리, 김희정 여성가족부장관의 출마가 기정사실화되고 있고 정치인은 아니지만 정종섭 행정자치부장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출마설도 나돌고 있다.잦은 총선용 개각은 부처업무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떨어뜨리게 마련이다. 그렇지 않아도 장관들의 평균 재임기간이 1년6개월 남짓한 단명 장관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취임 첫해는 전임 장관이 짜놓은 예산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고 다음해는 일할 예산과 사업계획을 짜놓으면 그 때는 물러나야 하는 처지가 되는 것이다.이런 현실에서 장관들이 소신껏 일하고 성과를 기대한다는 것은 무리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하물며 7개월짜리 장관이 무슨 수로 업적과 성과를 낼 것이며 혁신이나 개혁을 이룰 수 있겠는가?근본적인 문제는 인사권자의 인식에 있다. 선심 쓰듯 장관 감투를 씌워 몸값을 높인 뒤 선거용으로 내보내는 식의 경력관리용 차원의 인사를 대통령의 고유권한으로 알고 있다면 참으로 곤란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