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매일신문=노재현기자]구미·칠곡·경산 등 경북남부권지역과 대구를 하나로 연결하는 ‘대구권 광역철도사업’이 본격화되면서 경북·대구의 상생 발전에 청신호가 켜졌다.‘광역철도망 구축사업’은 경북도가 2007년 4월 KTX 2단계 건설에 따라 발생되는 기존 경부선의 여유용량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대구권 광역전철망 계획(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안하면서 본격화 됐다.추진은 2009년 7월 국토교통부의 기본조사용역결과 일반철도 증편방안으로 사업 타당성을 확보하는 등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 했다. 그러나 건설 후 운영 및 추가사업비(차량구입비)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답보상태에 들어갔다. 경북도는 2012년 12월 다시 일반철도사업(국비지원)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했으나 재원분담 기준 미준수 등의 사유로 사실상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에서 제외되는 시련을 겪었다. 이에 굴하지 않고 지방비 일부를 부담하는 광역철도사업으로 전환하면서 2013년 6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한 결과 그해 11월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선정을 이끌어냈다.급기야 대구시 및 구미시·경산시·칠곡군과 손잡고 노력한 결과 지난 7월 20일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타당성이 있음을 인정받은 것이다. 대구권 광역철도망사업 구간에는 2012년 기준 인구 328만 명(대구 253만 명, 구미 42만 명, 경산 25만 명, 칠곡 12만 명), 사업체 32만여 개(대구 26만8천196개, 구미 2만7천862개, 경산 1만5천714개, 칠곡 8천896개), 116만 명(대구 81만 명, 구미 19만 명, 경산 11만 명, 칠곡 5만 명)의 근로자가 종사하는 광역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하루 평균 60만 명이 개인 승용차를 이용해 고속도로를 통행하는 일일 생활권역이다.그러나 대중교통수송 분담률이 서울시 56.7%, 수도권 45.9%에 비해 대구권은 26.8%로 현저히 낮아 출퇴근 교통대란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구권 광역철도망사업이 추진되면 철도 서비스 낙후지역에 대한 교통불편 해소는 물론 출퇴근 도로 교통난 해소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여기에다 경북남부권과 대구가 광역경제권을 형성하면서 지역경제활성화에도 크게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적잖은 편익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통행시간 단축, 차량운행비용 절감, 교통사고 및 주차비용 절감은 물론 대기오염, 소음·진동 등 환경비용 절감 등 상당한 부가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된다.특히 대구·경북의 상생발전을 위해 경북도와 대구시가 함께 협력 추진해야 할 사업으로 장기적으로는 김천~구미(22.9km)와 경산~청도~밀양(44.7km)을 연결함으로써 지역발전 및 경제활성화와 국가경쟁력 강화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도로철도공항과 양정배 과장은 “경북대구간 상생협력 사업이 완료되면 대구시와 경북남부지역이 실질적 하나의 생활권으로 형성되면서 지역의 균형발전과 경제권이 크게 확대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대구·경북의 상생발전 촉진을 이해 더욱 노력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