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호기자]  대구취수원 구미 이정 반대 구미 민·관협의회는 22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대구시가 민·관협의회의 협의 지연을 핑계로 대구취수원 구미이전 예비타당성조사용역을 국토교통부에 단독으로 요청하기로 한 것에 대해 “예비타당성조사 용역 단독 요청은 절대 수용불가하다”고 밝혔다.성명서에서 “이는 보다 성숙한 자세로 대구·경북의 상생 발전과 후손에게 맑은 물 공급이라는 대명제를 이끌어내자는 취수원 관련 대구·구미 민·관협의회의 틀을 완전히 무시, 묵살하는 일방적 행위로 일고의 가치도 없을 뿐더러 상생이 아니라 횡포일 뿐이다. 대구취수원 구미이전 문제는 2009년부터 대구시의 건의와 국토교통부의 맑은 물 공급 사업정책에 따라 추진된 것으로 맑은 물을 시민에게 공급 하겠다는 대의명분은 그 누구도 부정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국토교통부와 대구시의 일방적 추진으로 그동안 지역갈등만 심화되고 상호간의 합리적인 논의의 장은 실종됐다”며 “상호 신뢰와 배려의 틀 안에서 진중한 논리가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구시측은 조급성을 보이며 몇 차례의 회의를 하고서는 자신들의 의도대로 되지 않자 지난 8월12일 대구시 당정협의회때 정치적 해결을 주문하고 17일에는 다가올 제5차 민관협의회(9월3일)에서 합의점 미도출시에는 협상파기(민관협의회 탈퇴) 등을 은급하는 등 힘의 논리로 해결하겠다는 애초 합의에 위반되는 행위를 해왔다. 게다가 지난해 국토교통부의 검토용역이 부실로 드러나고 새로운 근본적 대안 논의가 제시되자 지금의 논의 테이블에서는 대구시 입장 관철이 어렵다고 판단해 올해 안에 밀어붙이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다. 대구-구미간 합의 전에는 기획재정부는 예비타당성조사용역 추진을 지양하고 대구취수원 이전 관련 어떠한 예산도 반영하지 말고, 국토교통부는 본 사업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기존의 약속을 준수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대구-구미 양 도시는 공동의 생활권, 경제권 안에 있는 도시로 상호 의존성이 높고 협력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양 도시간 협력과 상생을 위해서는 상호간 합의가 잘 지켜지고 신뢰가 구축돼야 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