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동선 기자] 포스텍 연구팀이 물이 지나간 자리에 저절로 형성되는 알짜 전하를 이용해 물속 미세한 기포를 찾아낼 수 있는 플랫폼을 제작해 학계에 관심을 끌고 있다.20일 포스텍에 따르면 최근 교내 연구팀(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 박사과정 최동휘 씨, 학사과정 이동현 씨)이 물과 같은 액체가 고체 표면 위를 지나갈 때 표면대전현상에 의해 알짜 전하가 형성된다는 점에 착안해 물의 특성뿐만 아니라 물 속 미세기포의 존재 유무까지 파악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다.이번 연구 성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리포트(Scientific Reports) 온라인 판을 통해 발표됐다.이 연구에서 포스텍 기계공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이동현 씨는 공동 제1저자로서 김동성 교수와 최동휘 씨의 지도를 받아 실험 설계 및 진행, 샘플 제작했고 논문 작성 등 연구 전반을 수행해 세계적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를 거뒀다.연구팀은 생성된 알짜 전하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물의 여러 가지 특성이 전하의 크기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연구팀은 이같은 특성들을 동시다발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 연구팀은 형성된 알짜 전하는 물의 산성도 및 전해질 농도 등의 특성들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것을 확인했다.알짜 전하(net charge)는 물체를 구성하는 기본입자인 양전하와 음전하가 함께 모여 있을 때 밖에서 보면 둘을 더하고 남은 알짜 전하만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일컫는다.이번에 제작된 물 특성 평가 플랫폼은 매우 적은 양의 물도 분석 가능하고, 구현이 매우 간단하며,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저비용, 고효율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물속에 존재하는 미세기포의 수를 집계할 수 있는 자가발전 구동 미세기포 집계센서를 개발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