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끝내 3개월 동안 정치적 계산에 휘둘려 아무 결론도 도출하지 못한 채 허수아비 역할로만 허송하고 말았다.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획정위원회가 13일 선거구획정 최종안을 국회에 제출하지 못하면서 정치권 눈치 보기에 급급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역대 처음으로 국회가 독립기구인 선거구획정위를 출범시켰지만 획정위는 정치권 입김에 이리저리 휘둘리며 공회전만 했다.획정위는 올해 7월 선거역사상 첫 독립기구로 출범했다.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공정하고 합리적인 선거구획정 안을 마련하지는 것이 출범취지였다.10월 13일은 내년 4월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획정 최종안을 국회에 재출하는 날이었지만 획정위는 이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김대년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발표한 대국민사과문을 통해 선거구획정을 위한 인구산정 기준일과 지역구 수의 범위를 결정했지만 위원간 의견 불일치에 따라 합의점을 찾는데 한계를 느끼고 아무런 성과 없이 종료하게 되었다고 밝혔다.이어서 내년 국회의원선거가 차질 없이 치러지도록 국민대표기관인 국회가 정치적 결단을 발휘해 주길 기대한다며 공을 다시 국회로 넘겼다.한심하기 그지없는 일이다. 그러나 획정위는 한동안 존속된다. 현행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국회의원 지역선거구가 확정돼 효력을 발생하는 날까지 선거구획정위가 운영되기 때문에 추가로 획정안 논의가 가능하다.하지만 획정위가 국회의 정치적 결단을 강조하며 사실상 식물기구로 전락한 만큼 더 이상 끌고 간들 현재의 분위기라면 획기적인 의견도출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결국 내년 총선 룰은 여야의 정치적 타협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또 여야가 농어촌 의석수 감소 최소화에는 공감하면서도 여당은 비례대표 축소를 주장하고 있으며 야당은 비례대표 유지를 주장하면서 맞서고 있어 국회가 선거구획정 안을 확정지어야 하는 시한인 11월 13일까지 합의가 불가능할 것이란 추측이 지배적이다.이렇게 되면 정치신인들의 속은 탈 수밖에 없다. 여야 거대정당의 한가한 샅바싸움에 선거법 제약이 많은 상황에서 공천과 선거 전략을 구체적으로 세우지 못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