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를 두고 정치권에서 이념분쟁으로 비화돼 한치의 양보도 없는 정쟁으로 돌입했다. 새누리당은 긴급의원총회를 열어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당론으로 채택했다.의원들은 좌편향 교과서는 친북사상을 퍼트리는 숙주라며 국정화 반대세력과의 무한투쟁을 다짐했다.새정치민주연합 역시 교과서 국정화를 역사쿠데타로 규정하고 장외투쟁을 벌였다. 국정화 관련 예산은 물론 내년 예산안과 노동개혁 법안까지 보이콧 할 수 있다는 으름장까지 놓고 있다.시민 100만명 반대서명과 위헌소송까지도 불사할 태세다. 여야가 이렇게 역사교과서를 둘러싸고 사생결단식 역사전쟁을 벌이는데 우려를 금할 수 없다.결과는 공멸뿐일 것이다. 특히 야당이 예산과 법안을 볼모삼아 장외투쟁을 이어간다면 4대 개혁을 비롯해 모든 국정이 올 스톱 될 것이 뻔하다.학계, 시민단체, 보수와 진보의 세력대결도 더욱 치열해 질 것이고 온 국민이 찬반으로 갈려 싸우게 될 것이다. 정치권은 이렇게 나라가 두 쪽이 나도 좋단 말인가?여야가 냉정하게 짚어야 할 것은 역사교육의 본질이다. 역사를 어떻게 제대로 가르쳐 미래세대에 올바른 인식을 심고 나라를 발전시킬 것이냐가 논란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역사의 기술은 이념적 주장에 좌지우지될 수 없는 사실자체이어야 할 뿐 국가분열의 빌미가 되어선 안 된다.새정치연합은 교과서가 국정화 되면 유신시대처럼 친일과 독재를 미화한 국사교과서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언론의 비판과 시민단체의 감시가 보장된 민주화시대엔 설득력이 없는 논리다.현행 검정인 교과서들이 대한민국에는 지나치게 엄격하고 북한에는 관대하게 기술함으로서 편향성 논란을 자초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새누리당도 검정인 교과서를 자의적으로 짜깁기해 친북 딱지를 붙이는 구태를 버려야 할 것이다. 교과서 국정화가 불가피하다면 그 이유를 합리적으로 제시해 국민을 납득 시키는 것이 집권당의 할 일이다.교과서 문제의 본질은 어떻게 좋은 교과서를 만드느냐다. 미래세대의 올바른 역사관 확립과 나라의 백년대계만을 염두에 두고 냉정하게 풀어가야 할 사안이지 극한적인 정쟁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혹 여야가 마음이 콩밭에 있어 총선을 겨냥해 공학적 계산으로 접근한다면 거센 역풍을 맞을 것이다. 이제 정쟁을 접고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교과서를 만드는데 집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