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최악 42년의 가뭄이 중부지방을 비롯한 경북 북부지역을 강타하고 있다. 저수지와 상수원 바닥이 드러나고 농작물의 고사는 말할 것도 없고 먹는 물조차 제한급수에 운반급수까지 동원되어야 할 지경에 놓였다.세계수자원협회가 지난 2005년 이미 한국은 물 부족국가로 분류한바 있으나 드디어 그 현실이 눈앞에 닥친 것이다.당시 정부와 정치권은 크게 걱정하지도 않았으며 대책강구의 필요성도 느끼지 않았다. 그러나 10여년이 지난 지금 국제수자원기구의 경고가 현실이 됐다.경상북도의 사정은 심각하다. 안동댐 저수율이 33.2%, 임하댐은 31.9% 등 북부지역 댐 역시 저수율은 평년의 50~6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들 지역의 강수량은 340~570mm로 예년의 30~50%에 그치고 있다.상주와 봉화 등 4개 마을 500여명은 운반급수를 받고 있는 형편이고 북부지역 대부분이 용수부족으로 막바지 수확을 앞둔 농작물이 고사하는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대구기상청에 의하면 연말까지 절대적인 강수량이 부족할 것으로 예고하고 있어 가뭄해갈은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실정이다.정부와 정치권도 비상사태에 들어갔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역대 최악 수준인 가뭄해소를 위해 4대강 사업으로 조성된 댐과 보, 저수지에 저장된 물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한 것이다. 사전대응과 시기를 놓치고 이제 와서 4대강에 저장된 물이 가뭄에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음을 깨닫고 농업용수, 식수 등 모든 부분에 활용될 수 있도록 종합대책을 세운다는 뒤늦은 대응에 부산하다. 미련하기 그지없는 처사다.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한 4대강 사업은 최종단계인 지류, 지천정비사업 단계에서 중단돼 있다. 이명박 정부는 4대당의 바닥을 준설하고 물을 저장해 가뭄과 홍수에 대비하려 했으나 환경오염을 염려한 야당과 시민단체의 반발에 부딪혔다.이제 정부는 이를 묵살하고 당장 4대강 지류 지천정비사업을 재개해야 한다. 그리고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에서는 정부의 계획과 별도로 664개소 저수지 저수율이 53.6%로 평년대비 수준에 못 미처 내년도 농업용수 부족을 우려해 저수지 특별대책으로 양수기로 저수지 담수 및 논물 가두기 등 다각적인 대책수립을 약속한 만큼 경북지역의 항구적인 가뭄대책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