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노재현 기자]경북도가 신도청에서 새로운 스마트 전자지방정부 시대를 열어갈 서막을 올렸다.
12일 경북도에 따르면 현 도청에서 운영하던 서버, 스토리지, 보안, 네트워크 장비 등 정보통신 시스템의 신청사(안동 풍천면 일원) 이전ㆍ설치 작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경북도청의 본격적인 이전시기인 내년 2월을 앞두고 진행된 이번 이전ㆍ설치 작업에는 서버 187, 스토리지 72, 백업장비 34, 보안·네트워크 127, 기타장비 등 9종 488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전 작업은 장비가 도정의 핵심 역할을 하는 시스템인 점을 감안해 사전에 도상훈련과 모의훈련을 실시하는 등 군사작전을 방불케 할 정도로 신속ㆍ정확하게 진행됐다.
이전은 연휴기간인 지난 8일 오후 6시부터 11일 자정까지 서비스 종료, 시스템 백업, 해체ㆍ포장ㆍ상차, 운송, 하차ㆍ반입, 시스템 재설치ㆍ가동, 안정화 등 7단계에 100여 명의 전문 인력이 투입됐다.
작업은 12일부터 민원서비스와 내부 행정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점을 감안했다.
운송은 외부 충격에 민감하고 고가 장비인 점을 감안해 항온ㆍ항습이 보장되는 무진동 특수차량 9대와 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에 대비, 경북경찰청의 순찰차 2대를 1, 2그룹 선두와 후미에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정보통신시스템의 특성상 온도ㆍ습도에 영향을 많이 받아 결로현상 발생으로 장애발생 가능성이 높은 동절기를 피하기 위해 이전 시기를 앞당겼다는 후문이다.
이로써 행정전산화가 시작된 1980년대 초 현 청사 전산실이 설치된 지 35여년 만에 산격동 시대를 마감하고 신 도청에서 새로운 스마트 전자지방정부 시대의 서막을 올리게 됐다.
김현기 행정부지사는 “이번에 이전ㆍ설치한 장비는 도정의 핵심 역할을 하는 시스템이어서 정해진 시간 동안 안정적인 이전과 행정서비스를 완벽하게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를 기우렸다”면서 “이번 신도청 시대 도정종합정보실 정보통신시스템 이전은 상대적으로 정보통신기반이 취약한 경북 북부지역에 스마트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