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강동진기자] 한국인들의 소비생활 만족도를 추정하는 소비양극화 지수가 지난 1994년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소비생활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4월 전국의 20세 이상 소비자 2천5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5 한국의 소비생활지표’를 발표했다. 소비자원의 발표에 따르면 최근 1년간 경험한 소비생활 전반의 만족수준은 100점 만점에 평균 63.8점으로 나타나 지난 2013년 만족도 71.6점에 비해 무려 7.8점이나 낮아졌다. 이는 2013년에 비해 소비생활에서 기대와 요구의 충족 정도가 급락했음을 의미한다. 소비분야별로는 식생활ㆍ의료ㆍ문화/여가 순으로 만족도가 높아 각각 66.5점, 64.2점, 64.0점이었으며 반대로 경조사지원ㆍ뷰티/헬스ㆍ금융/보험 순으로 낮아 각각 59.1점, 60.6점, 61.2점이었다. 경조사지원서비스는 2013년에 이어 올해도 만족도가 가장 낮은 분야로 나타났다. 이는 상조회사들의 부실화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는 게 소비자원 관계자의 전언이다. 지역별로는 제주, 서울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경남, 충북 순으로 낮았다. 제주와 서울의 경우, 식ㆍ주ㆍ의생활ㆍ의료분야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경남과 충북은 소비분야 대부분의 만족도 점수가 낮았다. 또 대구 경북 주민들의 만족도는 전국 평균수준이다. 소비생활 중산층 인식 설문에서는 ‘중산층 상’은 감소하고 ‘중산층 하’는 증가했다. 올해 조사에서 자신을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는 65.2%로, 2013년 62.5%에 비해 2.7%p 증가했다. 상류층에 대한 하류층 비율로 산출한 소비양극화 지수(상류층/하류층)는 올해 167(2007년=100)로 1994년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소비생활의 양극화 정도가 더욱 심화됐음을 의미한다. 소비생활 분야 전반에서 연간 어느 정도로 문제를 경험하는지 ‘소비자문제경험률’을 측정한 결과, 평균 59.6%로 나타나 100명 중 약 60명은 연간 최소 1회 이상 소비자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문제 유형별 경험률을 살펴보면 품질대비 비싼 가격이 25.5%로 가장 많았고 소비자정보 부족 12.6%, 품질불량 11.9%, 부당 표시ㆍ광고 10.6% 순이었다. 사업자와의 거래 때에 불만을 경험한 경우는 39.3%이고 이 중 제품 결함 및 하자 등 소비자피해로까지 이어진 경우는 13.6%로 나타났다. 즉 100명 중 14명이 피해 경험자다. 피해 경험자 중 소비자관련기관ㆍ단체에 분쟁해결을 의뢰한 경우는 21.0%인 약 3명으로 연간 우리나라의 소비자분쟁 의뢰 건수를 추정(2014년 현재, 20세 이상 인구수 40,747,638명)하면 약 1백2십2만건 이상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1년 동안 피해 경험률은 서울이 17.6%로 가장 높았으며 강원(16.1%), 충북(15.8%) 순으로 파악됐다. 또 소비자평균 피해율인 13.6% 아래인 지역은 경북(12.3%), 대구(10.5%), 인천(9.5%) 등이며 가장 낮은 지역은 울산(5.7%)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