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학년도부터 실시되는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교육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중간·기말고사 등 시험의 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수업 운영을 토론, 실습 등 학생 참여형으로 개선하고 진로탐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제도이다.
학생들이 스스로 꿈과 끼를 찾고 자신의 적성과 미래에 대해 탐색·고민·설계하는 경험을 통해 지속적인 자기성찰 및 발전할 수 있는 기회 제공과 지식과 경쟁 중심 교육을 자기주도 창의학습 및 미래지향적 역량(창의성, 인성, 사회성 등)함양이 가능한 교육으로 전환하는데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문경교육지원청은 경상북도교육청에서 유일하게 2014학년도 교육부지정 자유학기제 선도교육지원청으로 지정돼 학생들의 꿈을 키우고 끼를 찾는 행복교육 실현에 앞장서 왔다.
2015년은 선도교육청 2년차로써 자유학기를 토론 토의수업, 프로젝트 수업, 융합수업 등 학생활동중심으로 전개해 수업방법 개선에 역점을 두고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또 학생들의 행복한 학교생활을 제공하고 학생 스스로 꿈과 끼를 찾으며 자신의 적성과 미래에 대해 탐색하는 소중한 시간을 찾기 위해 현재 문경서중학교 자유학기제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나머지 8개 희망학교 등 지역 내 9개 전체 중학교가 학교 및 지역 특색에 맞는 자유학기제 운영 모형을 설정해 운영하고 있다.
■ 자유학기 교육과정은 이렇게 운영 됩니다.
- 다양한 체험과 참여 활동을 통해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학교의 여건과 지역의 특색을 고려해 학교 교육과정을 재구성해 학생들이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과 교육과정(내용)을 재설계해 지도한다.
■ 자유학기 수업은 학생 활동 중심으로 하겠습니다.
- 학생 참여 및 활동 중심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토의·토론, 문제해결, 실험·실습, 체험탐구학습, 프로젝트학습, 협동학습, 융합수업 등 다양한 학습 모형을 적용하며 교과별 특성에 맞는 학생 참여 및 활동 중심 수업을 강화한다.
■ 자유학기 학생 평가는 이렇게 하겠습니다.
- 자유학기에는 교과학습발달상황 평가는 학교별로 자유학기의 취지에 맞는 평가 방안을 마련, 특정 기간에 시행되는 중간·기말 고사와 같은 총괄평가는 실시하지 않고 학생들의 학습 진척 상황을 확인하고 이를 학습지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형성평가를 실시해 피드백을 강화하고 자기성찰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등을 수시 실시한다.
꿈과 끼를 키우는 맞춤형 진로설계 지원을 위한 진로교육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의 기관 및 단체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연계를 통해 문경교육지원청, 지자체, 지역 사회 등 각 기관과 단체가 참여하는 자유학기제 및 진로교육 지원체제 구축 및 모델을 개발해 적용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