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동수기자] 경북도청 이전지역인 안동과 예천의 행정구역을 오는 2018년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21일 안동시민회관에서 열린 경북도청 이전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 방안 시민토론회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권기창 안동대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는 “안동시와 예천군의 통합은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아닌 주민의 의사에 따라 이뤄져야 한다”며 “도청이전지 신도시의 인구가 2만~3만명 확보되는 오는 2018년이 통합의 최적기”라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정호 경북대 교수는 “안동ㆍ예천 통합으로 인구 30만명 규모의 도시가 조성될 때 도시비용이 현저히 줄어들 것”이라며 “두 도시별로 특색과 자율적인 행정시스템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그러나 안동ㆍ예천이 통합하지 못할 경우 일명 ‘블랙홀 현상’으로 두 도시 인구가 신도시로 흡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열 경일대 교수는 “지방자치발전위원으로서 도시의 효율성과 균형 발전성을 강조하는 통합은 사실상 반대하는 입장”이라며 “지금까지 이런 조건을 따져 통합한 도시의 경우 소규모 도시 대부분이 정체성을 잃어버린 경우가 허다했다”고 강조했다.
이수한 청원ㆍ청주통합군민협의회 위원장은 “두 지역의 상호 약속과 신뢰가 존중될 때 비로소 올바른 통합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면서 “반드시 상생발전 부분에 대해서는 의무화로 명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질의ㆍ응답에서는 안동ㆍ예천 통합을 위해 안동에서는 통합추진위원회가 구성되고 범시민적으로 공감대로 형성되고 있지만 예천에서는 준비나 대화 의지가 없는 상태에서 안동시가 어떻게 이 문제를 공론화하고 풀어가야 할지에 대한 문제점 등이 지적됐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