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류길호 기자]
코레일이 다양한 KTX 할인혜택을 준다며 요금제를 개편했지만, 승객이 받은 할인액은 오히려 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철도공사가 22일 새누리당 김희국 국회의원(대구 중ㆍ남구ㆍ사진)에게 제출한 ‘2010~2014년간 KTX 할인인원 및 금액 현황’에 따르면, 승객 1인당 할인금액이 2013년 1만4천306원에서 2014년 1만1천232원으로 2010년 이후 최초로 감소했다.
다양한 할인혜택을 주겠다며 도입한 할인제도가 오히려 승객의 할인액을 더 줄인 것이다.
KTX 할인혜택을 받은 인원은 2010년 50만 4천명, 1인당 3천455원의 할인을 받았으나, 이후 할인혜택이 확대되면서 2013년에는 183만 5천명이 1인당 1만4천306원의 할인을 받았다.
하지만 2014년 들어 할인혜택을 받은 인원은 151만 4천명으로 300만 명 가량 줄었고, 1인당 할인액 또한 1만1천232원으로 3천원 이상 줄었다.
2013년 ‘더욱 편리’하고, ‘더욱 사용처를 넓히겠다’며 철도포인트 사용방식을 적립제에서 쿠폰제로 바꾸고, 2014년 ‘다양한 할인상품을 도입’하겠다던 코레일의 공언이 실상 승객의 주머니만 가볍게 한 실언이 되고 만 것이다.
김 의원은 “코레일은 매해 부채감축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했지만, 올해 4천452억 원의 부채가 증가했다”며 “뼈를 깎는 혁신과 새로운 수요를 발굴할 생각보다는 국민의 운임료로 부채를 메워나가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