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 경주 2015’가 열리고 있는 경주엑스포공원 문화센터는 지난 13일 저녁 경주의 역사를 음악을 통해 창작 오페라로 만든 ‘신라 향가 죽지랑’공연이 펼쳐졌다. 400여 관객들로 만석을 기록한 이날 공연에서는 신라 향가의 멋과 화랑의 기개 그리고 사랑의 이야기가 담긴 한 편의 오페라에 관객들이 매료됐다. ‘신라 향가 죽지랑’은 신라 화랑의 낭도 득오에 의해 써진 ‘모죽지랑가’가 모티브. 득오가 죽지랑을 사모해 지은 향가로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룬 부원수 죽지랑의 인간적인 모습과 그 속에 득오와 그를 사랑하는 지고지순한 여인 순이의 사랑을 담은 아름다운 창작 스토리는 1시간 30여분의 시간이 무척이나 짧게 느끼도록 만들었다. 특히 이번 공연에는 죽지랑 역의 바리톤 김승철 계명대 성악과 교수, 득오 역의 테너 이현 영남대 음악대학 학장, 순이 역의 소프라노 이윤경씨 등 지역의 대표급 음악인들이 대거 참여했다. 이번 작품은 신문식 예술총감독(경주챔버오케스트라 음악감독), 대본과 작곡의 최현석 한국작곡가회 부회장, 연출 정철원 (사)한울림 대표 등이 맡아 ‘드림팀’이라는 평을 받았다. 오페라는 시작부터 장엄함과 부드러움의 조화가 공명이 돼 울린다. 통일 대업을 이룬 부원수 죽지랑과 낭도들의 기개가 힘찬 말발굽 소리가 돼 전편에 굽이친다. 여기에 부하 낭도를 아끼고 사랑하는 죽지랑의 인품과 어머니에 대한 효성 깊은 아들 득오 그리고 그를 사랑하는 한 여인 순이의 사랑이 파노라마처럼 이어졌다. 탄탄한 줄거리, 짜임새 있는 구성과 함께 스피드 한 흐름의 전개로 지루함을 느낄 수 없게 만들었다. 삼국유사에서 전해지고 있는 ‘모죽지랑가’는 신라 효소왕때 화랑 득오가 지은 팔구체 향가로 득오는 자신을 도와 준 죽지랑의 인격을 사모해 이 노래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주술성이나 종교적 색채가 보이지 않는 순수한 서정시로 충담사의 찬기파랑가와 더불어 화랑의 기개를 기리고 사랑의 이야기를 담은 향가다. 한편 창작 오페라 ‘신라 향가 죽지랑’은 음악과 줄거리를 다소 보강해 오는 11월께 경주예술의 전당에서 관객들을 다시 한 번 찾아 간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