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폐교 전국에서 두 번째 많아
○…경북지역 폐교 학교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아 활용 방안 등에 대한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설훈(부천시 원미을) 의원은 14일 경북도교육청에서 열린 경북교육청, 충북교육청, 대구교육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1982년부터 발생한 경북 지역 폐교 건수가 670개로 전국에서 2번째로 높다고 이와 같이 지적했다.
설 의원은 현재 미활용 폐교 45곳 중 매각 예정인 19곳에 대해서도 매각 대신 마을공동체의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활용방안을 강구해 줄 것을 경북도교육청에 촉구했다.
전국 폐교 현황 자료에 따르면 1982년 이후 전국에서 3천627개교가 문을 닫은 가운데 전남이 797개로 가장 많고 경북이 뒤를 이었다.
이어 경남 544개, 강원 438개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폐교 가운데 매각됐거나 매각 예정인 곳은 2천439개(67.2%)이른다.
이중 경북은 67.5%로 충남 83.8%, 전북 83.6%, 전남 81.8% 등에 비해 낮았지만, 전국 평균(67.2%)보다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노재현 기자
대구 위장전입 학생 수성구 가장 많아
○…대구에서 특정 학교에 자녀를 보내거나 같은 학군 내 다른 학교로 전학시킬 목적으로 한 위장전입이 공공연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에 따르면 대구시교육청이 제출한 `대구광역시교육청 2013~2015년 7월 위장전입 적발현황`을 분석한 결과 선호 학교로의 위장전입 건수는 2013년 28건, 2014년 53건, 2015년 7월까지 67건으로 매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대다수인75.6%(112건)이 선호학교로 수성구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구의 강남 8학군으로 불리는 수성구와 비수성구간의 교육격차의 심각성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예다.
학급별로는 고등학교의 경우 적발된 선호학교로의 위장전입 건수 모두 수성구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태헌 기자
경북지역 고등학생, 주말과 휴일에도 자율학습을
○…경북지역 대부분 고등학교가 주말과 휴일에도 자율학습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유은혜(고양시 일산동구) 의원이 14일 경북교육청으로부터 국감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휴일 자율학습 실시 학교 현황`에 따르면 전체 193개 고등학교 중에서 61%에 해당하는 고등학교가 토요일 하루 또는 토·일요일 모두 자율학습을 실시한다.
자율학습을 실시하는 118개 고등학교 중 토요일만 자율학습을 실시하는 학교는 72개교, 토요일과 일요일 모두 자율학습을 실시하는 학교는 46개교로 조사됐다.
반면 토요일과 일요일 모두 학교에서 자습을 실시하는 고등학교 2014년 50개교에서 40개교로 줄었다.
다행이 올해 들어 토요일에 자습을 실시하는 학교는 4개 늘었다.
/노재현 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